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우포늪. 창녕군(昌寧郡)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상남도

우포늪. 창녕군(昌寧郡)

세계속으로 2010. 1. 17. 12:30

우포늪. 창녕군(昌寧郡). 경남(慶南)

 

 

주차장

 

우포늪 기념품 판매소

 

 

경상남도 종합관광 안내도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우포(소벌), 목포, 사지포 및 쪽지벌로 이루어진 우포늪은 약 1억 4천만년전에 형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원시적 자연늪으로서 가시연꽃을 비롯하여 줄. 부들, 생이가래 등 각종 수생 및 습지식물이 분포하고 큰고니, 고니, 큰기러기, 중대백로, 왜가리 등 철새의 주요 도래지로서 어류. 수서곤충, 무척추동물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특수한 담수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이 지역이 자연늪으로서의 보전가치가 있어 습지 보호지역 및 생태. 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국제 습지 보전 협약인 람사르협약에 등록되어 보호받고 있으니 이곳을 찾는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바랍니다.

- 안내문에서 -

 

 

 

 

우포늪 전망대

 

 생태계의 보고 우포늪

우포늪(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을 총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자연내륙습지로 창녕군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대지면 4개의 행정구역에 걸쳐 펼쳐져 있고, 동경 128.25, 북위 35.33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997년 7월 환경부에 의해 '생태, 경관 보전지역(Ecological Conservation Area)'으로 지정되었고, 1998년 3월에는 람사르협약(Ramsar Convention)에 등록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생태. 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면적은 약 8.54 Km2 (약 854 ha) 정도이고, 여름철 장마나 홍수로 인해 우포늪이 물을 담고 있는 습지 면적은 약 2.313 Km2 (약 231 ha) 정도가 됩니다.

 

우포늪은 국내 최대의 자연늪입니다.

창녕군 대합면 주매리와 이방면 안리. 유어면 대대리, 세진리에 걸쳐 있는 2.313 Km2 의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활한 늪지에는 수많은 동. 식물들이 저마다의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포늪은 수많은 동.식물들에게 때로는 휴식처로. 떄로는 삶을 영위 하는 터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동.식물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도 가슴을 열어 보이는 우포늪은 인간도 자연의 일부임을 느끼게 합니다.

- 안내문에서 -

 

일반 현황

위치 : 창녕군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대지면 일원

면적 : 8,540,000m2 (수면 2,312,926 m2)

생태학적 가치

  1억 4천만년전에 생성된 국내 최대규모의 원시 자연늪으로소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자연 생태계의 보고임

 

명칭의 유래

소벌 (우포늪)

소목부근의 지세가 소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소목 뒤편의 우항산(牛項山)은 소의 목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이기 떄문에 비롯된 명칭이라고 한다.

 

 

 

서식 동.식물 현황

총 1,205 여종

조류 : 여름 철새, 겨울 철새, 나그네새, 텃세 등 160여종

어류 : 잉어목, 메기목, 농어목 등 13여종

식물 : 육지식물, 물가식물, 귀화식물 등 747여종

곤충(250여종), 포유류(14여종), 양서류(10여종), 파충류(11여종) 등

 

보전조치

97.7.26 : 생태. 경관 보전지역 지정

98.3.2 : 국제 람사르협약 등록

99.2.8 : 습지보호지역 지정

 

식물상

   양치. 나자식물 : 쇠뜨기, 족제비고사리, 개고사리, 꿩고사리, 네가래, 생이가래, 소나무,

                           곰솔, 노간주나무

   피자식물 : 단자엽식물 - 부들, 흑삼릉, 말즘, 넓은잎말, 가래, 실말, 새루가래, 보풀,

                                      벗풀,나사말, 검정말, 자라풀, 뚝새풀, 흰겨이삭, 개밀,

                                     실포아풀, 줄, 물억새, 갈대, 그령, 각시그령, 왕바랭이, 잔디,

                                      새, 수크령, 금강아지풀, 개기장, 바랭이, 매자기, 창포,

                                      나도개피, 돌피, 피, 기장대풀, 누룬기장대풀, 띠, 마름 등

                   쌍자엽식물 - 가시연꽃(멸종위기 II), 노랑어리연꽃, 미루나무, 은사시나무,

                                       이태리포플러, 왕버들, 용버들, 선버들, 갯버들, 물오리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 푸조나무, 환섬덩굴, 자운영,

                                       소리쟁이, 며느리밑씻개, 나도미꾸리낚시, 흰여뀌, 큰개여귀,

                                       여뀌, 개여뀌, 취명아주, 털비름, 쇠무릅, 쇠별꽃 등

 

조류

   노랑부리저어새(멸종위기 I), 큰기러기(멸종위기 II), 큰고니(멸종위기 II), 고니(멸종위기 II)

   새흘리기(멸종위기 II), 가창오리(멸종위기 II), 파랑새, 뻐꾸기, 청딱따구리, 원앙,

   황조롱이, 왜가리, 논병아리, 덤불해오라기, 쇠백로, 중대백로, 대백로,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넓적부리오리, 쇠오리, 청머리오리, 알락오리, 고방오리, 홍머리오리,

   흰죽지, 댕기흰죽지, 개구리매, 꿩, 쇠물닭 등

 

포유류

   수달(멸종위기 I), 삵(멸종위기 II),  두더지, 땃쥐, 집박쥐, 멧토끼, 청솔모, 멧밭쥐,

   등줄쥐, 집쥐, 너구리, 족제비, 고라니 등

 

양서류

    맹꽁이(멸종위기 II),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참개구리, 도룡뇽, 옴개구리 등

 

파충류

    남생이(멸종위기 II), 자라, 줄장지뱀, 장지뱀, 유혈목이, 무자치, 누룩뱀, 쇠살모사,

    능구렁이 등

 

어류

    피라미, 왜몰개, 돌마자, 참몰개, 긴몰개, 참붕어, 누치, 참마자, 잉어, 붕어,

    흰줄납줄개, 각시붕어, 큰납지리, 납지라, 칼납자루, 줄납자루, 납자루, 미꾸라지,

    미꾸리, 기름종개, 메기, 동자개, 송사리, 가물치, 버들붕어, 밀어, 줄공치, 백조어 등

 

곤충류

    연못하루살이, 늦반딧불이, 등검은실잠자리, 청실잠자리, 산측범잠자리, 나비잠자리,

    사마귀, 쌕새기, 실베짱이, 귀뚜라미, 방아깨비, 장구애비, 물자라, 실소금쟁이,

    말매미충, 말매미, 물방개, 물땡땡이, 무당벌레, 하늘소, 호박벌, 동애등에, 제비나비,

    산호랑나비, 노랑나비, 배추흰나비, 장수허리노린재 등

 

패류

    귀이빨대칭이(멸종위기 I), 논우렁이, 물달팽이, 말조개, 대칭이, 엷은재첩 등

 

※ 우포늪에 서식하는 생태계 교란 야생동. 식물 및 외래종 : 붉은귀거북, 황소개구리,

                                                                                  블루길, 배스, 돼지풀, 뉴트리아

 

 

 

  

 

 

 

 

 

 

 

우포늪 조류 안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