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광한루(廣寒樓). 광한루원(廣寒樓苑). 남원시(南原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전라북도

광한루(廣寒樓). 광한루원(廣寒樓苑). 남원시(南原市)

세계속으로 2013. 4. 10. 16:32

광한루(廣寒樓). 광한루원(廣寒樓苑). 남원시(南原市). 전북

 

광한루 (廣寒樓)

Gwanghallu Pavilion

Treasure No. 281

 

춘향전으로 한층 유명해진 광한루는 황희 정승이 1419년에 <광통루>를 세우고 세종 16년(1434)에 중건되고 정인지에 의해 <광한루>라 개칭(1444) 되었다. 그 후 정유재란 때 전소되어 인조 4년 (1626)에 남원부사 신감으로부터 복원되어 오늘에 전한다. 선조 때 남원부사(南原府使) 장의국(張義國)이 요천(堯川)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광한루 전면 동서 양면에 평호(平湖)를 만들어 은하수(銀河水)를 상징하게 하였으며, 못 안에는 삼신도(神島)를 만들어 한 섬 (방장섬)에는 대나무를, 또 한섬(봉래섬)에는 백일홍(百日紅)을 심고, 나머지 한 섬(영주섬)에는 연정(蓮亭)을 지었다. 또 가운데에는 하화(荷花蓮)을 심고 못을 가로지르는 오작교(烏鵲橋)를 놓았다. 연못을 앞에 둔 누각으로 마루주위에 난간을 둘렀고 본채 동쪽에 연접된 두 칸의 부속건물은 정조때(1776-1800)에 증축 한 것이다.

기둥위의 공포양식이 주심포집에 다포집 계통을 절충한 특수한 건물인데, 건축 양식보다 춘향과 이도령의 아름다운 인연이 얽힌 전설적인 누각으로 더 알려져 있다.

- 안내문에서 -

 

광한루원 잉어의 유래

옛날에는 누각(0앞에 좁다란 시냇물이 흐르고 있었는데 전라 관찰사 정철이 은하수를 상징하는 넓은 연못을 만들었다. 이곳 연못에는 광한루원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의 기증으로 3,000여 마리의 토종 잉어와 비단 잉어가 살고 있다. 잉어는 수명이 70-80년 정도이며, 이곳에는 사람 얼굴 모습을 닮은 인면어가 10여마리 살고 있어 이를 찾아보는 즐거움도 있다.

- 안내문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