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집사청(執事廳).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본문
집사청(執事廳).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경기도(京畿道)
집사청(執事廳)
화성행궁의 잡다한 사무를 보던 집사(執事)들이 사용하던 건물이다. 좌익문 밖 동북 담 안에 1789년(정조 13)에 세웠는데,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완전히 파괴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2002년 7월에 옛 모습대로 복원된 것이다.
- 안내문에서 -
15.부인복 14. 당의 13. 두정갑주 12. 사규삼 11. 홍원삼
10. 구군복 9. 전복 8. 강사포 7. 관복 6. 제복
5. 활옷 4. 녹원삼 3. 금관조복 2. 왕면복 1. 치적의
조선시대 궁중의상
1. 치적의 (궁에서 행사시 입는 왕비의 예복)
2. 왕면복 (면복은 왕이 종묘사직에 제사 지낼때나 행차가 있을때 입던 법복(法服)이다)
3. 금관조복 (왕이 제사 지낼때 문무백관이 입는 배사복(陪祀服)
4. 녹원삼 (궁에서 행사시 입는 공주의 예복)
5. 활옷 (궁중에서 혼례가 있을 때 사용하던 예복)
6. 제복 (제복은 왕이 종묘사직 등에 제사를 지낼 때 배사시(陪祀時) 입는 왕의 면복에
해당하는 옷으로 제관(祭官)과 향관(享官)만 입을 수 있다.
7. 관복 (문무백관이 궁에서 입는 예복)
8. 강사포 (왕이 신하의 조현(朝見)을 받을때 입는 옷)
9. 전복 (전복은 소매와 섶이 없고 앞 중심선에는 맞닿게 만든 옷이다)
10. 구군복 (문무관이 입었던 군복(軍服))
11. 홍원삼 (조선시대 왕비가 행사가 있을 때 입던 예복)
12. 사규삼 (사내아이가 관례전에 입던 상복(常服))
13. 두정갑주 (문신들이 입는 의상)
14. 당의 (궁에서 평상시 입는 의상)
15. 부인복 (사대부 부인들이 평상시 입는 의상)
연표로 보는 수원화성
■ 1789 년 (정조 13년)
정조, 사도세자의 묘소를 수원으로 옮기는 것을 결정
수원부의 읍치를 팔달산록으로 결정
현륭원 공역 완료
화성행궁 복내당 건립
화성행궁 장남헌 건립 (현재의 봉수당)
화성행궁 무고 건립
화성행궁 비장청 건립
화성행궁 집사청 건립
화성행궁 남군영 건립
화성행궁 북군영 건립
객사 건립
■ 1790년 (정조 14년)
화성행궁 유여택 건립
화성행궁 미로한정 건립
■ 1793년 (정조 17년)
수원을 '화성'으로 개칭하여 친필 편액을 장남헌에 거레 함
수원부사를 유수겸 장용외사, 행궁정리사로 삼고, 채제공을 화성유수로 임명
수원부로 이전과 화성축성을 주장한 유형원에게 이조판서 수여
이아 (아문에 다음 가는 관아) 건립
■ 1794년 (정조 18년)
화성성역 착곧 (총리대신 체재공, 감동당상 조심태)
수원천 준설
화성행궁 장락당 건립
화성행궁 득중정 건립
화성행궁 낙남헌 건립
화성행궁 노래당 건립
장안문, 팔달문 완공
동북각루 완공
서장대 완공
■ 1795년 (정조 19년)
정조,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위해 화성행궁 도착
정조, 화성장대에 올라서 낮과 밤에 군사훈련 지휘
화성행궁 봉수당에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거행
■ 1796년 (정조 20년)
화서문 완공
서북동심돈 완공
동북노대 완공
화성행궁 유여택 남행각 완공
화성행궁 내포사 건물 완공
화성성역 완공 (연인원 11,821명, 연일수 376, 342반일, 총경비 873,520냥, 곡식 1,500석)
화성행궁 수서고, 공신루 건립
■ 1797 년 (정조 21년)
정조, 현륭원 제 8, 9 차 전배를 위해 화성행궁 도착
■ 1798 년 (정조 22년)
정조, 화성유수 서유린이 조세을 면제해주도록 아뢰자 승낙
■ 1800 년 (정조 24 년)
정조, 현륭원 제 13차 (마지막 원행) 전배를 위해 화성행궁 도착
정조, 6월 28일 악성 부스럼 병으로 춘추 49세를 일기로 창경궁 영춘헌에서 승하
정조, 현륭원 동쪽 언덕에 장사를 지냄
■ 1801 년 (순조 1년)
홍원섭에게 '화성성역의궤'의 인간 책임을 맡기며 간행하도록 하고, 2달후 '화성성역의궤'
간행
정조 어진 봉안을 위해 화령전 건립
화성전도
건릉 정조와 그의 비 효의왕후의 능으로,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에 소재한다.
융릉 정조의 아버지인 장조 (사도세자)와 그의 비 혜경궁 홍씨가 묻힌 능이다.
장안문 화성의 북쪽문이자 관문으로 팔달문과 함께 화성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팔달문 화성의 남쪽문으로 전면에 반월형의 옹성을 쌓았다. 보물 제 402호
화서문 화성의 서쪽문으로 화성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보물 제 403호
창룡문 화성의 동쪽문으로 전면에는 한쪽이 열려 있는 반월형으로 된 옹성을 쌓았다.
북성 서적대 장안문을 보호하는 시설 서남암문 화성의 비밀 통로
서장대 팔달산 정상의 군사지휘소 북수문(화홍문) 일곱칸의 홍예 수문
동북노대 쇠뇌를 쏘던 곳 동북공심돈 8m 높이의 망루
북포루 치성 위에 쌓는 누각 북서포루 대포를 설치한 공격포루
서3치 적병을 방어하는 시설 용도 양쪽에 담을 쌓는 길
봉돈 통신시설물로 성곽에 있는 국내 유일한 봉돈 서남포루 적의 동태를 살펴 신호를 전달
하는 곳
화성복원을 위한 노력
수원화성의 복원
1950년대의 수원시청
1950년대의 화령전
1960년대 동장대 보수공사
1970년대 초의 화서문과 서북공심돈
1970년대 복원직후의 화성 동장대(연무대) 부근 성벽
현재 화성장대
화성행궁의 복원
화성행궁의 복원공사
1996년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화성행궁
복원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화성행궁
화성행궁 주변
1990년대 중반 경기도립의료원을 헐어낸뒤 화성행궁의 발굴조사를 하고 있다
화성행궁의 정전인 봉수당 상량식
화성행궁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양문(中陽門).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
좌익문(左翊門).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느티나무 소원빌기.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남군영(南軍營).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서리청(書吏廳).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