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화성행궁안내도. 수원시(水原市) 본문
화성행궁안내도. 수원시(水原市). 경기도(京畿道)
화성행궁
행궁은 왕이 항상 머물며 국사를 주관하는 본궁(本宮)과 달리 전란(戰亂), 휴양. 능원, 참배 등으로 지방에 행차하여 임시로 거처하는 행재소(行在所)로 사용하는 곳이다. 화성행궁은 화산 현륭원 참배의 목적 외에 정조 임금이 1804년 양위 후 장차 수원화성에 내려와 노후를 보낼 시설이었으므로 그 어떤 행궁보다도 대규모로 건설되었으며 팔달산 기슭 수원화성의 중심부에 자리잡았다.
화성행궁은 1789년 (정조 13년) 옛 수원 읍치였던 화산아래에서 팔달산 아래로 옮긴 수원신읍(水原新邑)의 관아로 건축된 후 이듬해인 1790년 5월 7일 약 340칸의 관아가 완성되면서 행궁의 역할도 아울러 지니게 되었다.
이후 1794년 (정조 18년) 화성성역을 시작하면서 각 건물을 증축하거나 재배치하여 1796년 화성성역이 끝날 무렵에 모두 합하여 576칸의 건물이 완성되었다.
1795년 윤2월 혜경궁 회갑연의 다양한 공연 예술 및 행사가 치러진 중심무대였으며 정조와 후대의 국왕들이 능행차 때마다 머물렀던 조선시대 최대의 행궁이었다. 화성행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의해 의도적으로 파괴되어 그 터는 경기 도립병원, 신풍초등학교, 수원 경찰서 등이 자리 하였고 낙남헌, 노래당 건물만이 신풍초등학교 운동장 한 귀퉁이에 남아 있을 뿐이었다.
이에 1989년 10월 화성행궁 복원추진위원회가 설립되엇고 1996년부터 본격적인 화성행궁 복원공사가 시작되어 2002년 1단계로 전체 575칸 중 482칸을 복원 완료하였다.
- 안내문에서 -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풍루(新豊樓). 화성행궁(華城行宮).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
화성행궁(1).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화성행궁. 수원화성(水原華城).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성신사(城神祠). 수원화성(水原華城).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
팔달산에서 본 화성행궁. 수원시(水原市) (0) | 201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