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고인돌박물관 전시실 안내.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본문
고인돌박물관 전시실 안내.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전북(全北)
1. 인포메이션
2. 정보검색 (박물관 안내)
3. 새로운 생명을 위하여
- 고인돌 운반하는 고창의 선사인
4. 매산마을 사람들의 움집생활
- 풍요로운 매산마을
5. 고인돌의 고장 고창
- 1. 고창 고인돌의 특징
- 2. 고창 고인돌의 분포현황
- 3. 장제문화의 특징
- 4. 청동기시대의 특징
- 5. 고인돌의 형식
6. 고창 선사인의 삶과 죽음
- 1. 장법 소개
- 2. 움집. 도구제작
- 3. 농경생활
- 4. 고창 선사인의 삶과 영혼
- 5. 운곡리 고인돌
7. 고인돌과 묘제
- 1. 묘제양식의 변천
- 2. 고인돌의 기원
- 3. 고인돌의 분포현황
- 4. 고인돌의 형태와 구조
- 5. 고인돌의 축조방법과 순서
- 6. 고인돌의 기능.
- 7. 고인돌의 주인공
- 8. 고창에서의 고인돌 조사
8. 고창의 선사문화
- 1. 청동기시대의 고창
- 2. 죽림고 고인돌군 (매직비젼)
- 3. 초기철기 ~ 백제시대의 고창
9. 정보검색
- 세계문화유산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10. 세계문화유산과 거석문화
- 1.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
- 2. 세계의 고인돌
- 3. 세계의 거석문화
- 4.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11. 고창문화관광
거석문화의 유산 고인돌
Dolmen, the Heritage of Megalithic Culture
고인돌은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거석문화유산으로 지석묘(支石墓)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인돌은 주로 무덤으로 사용되었으며, 기념물이나 제단 혹은 고인돌 묘역을 알리는 묘표석의 기능과 함께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지상이나 지하의 무덤방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고인돌은 집단 공동체 생활이 가능해진 청동기시대에 만들 수 있었던 상징적 문화유산이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삶과 죽음의 세계를 알려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당시 사회 구조와 문화 등을 파악하는 열쇠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에는 3만여기가 분포하고 있어 세계 최대의 분포양상을 보여준다. 이 가운데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은 밀집도가 높으면서 다양한 형식을 보이고 있어 고인돌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0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제 C-977호)으로 등재되었다.
- 안내문에서 -
'나라안 나들이 > 전라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
고인돌을 운반하는 고창의 선사인.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핀란체 팬션.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임실군 문화체육센터. 임실군(任實郡) (0) | 201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