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병산서원(屛山書院). 안동시(安東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상북도

병산서원(屛山書院). 안동시(安東市)

세계속으로 2013. 9. 11. 17:31

병산서원(屛山書院). 안동시(安東市). 경북(慶北)

byeongsan.net

 

 

병산서원

사적 제 260호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1542-1607)이 선조 8년 (1575)에 지금의 풍산읍에 있던 풍악서당을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 병산서원의 처음 모습이다. 류성룡은 선조 때 도체찰사와 영의정을 지냈던 정치가이며 유학자로, 1607년에 타계한 뒤 1614년에 선생을 따르던 제자와 유생들이 이곳에 위패를 모시는 사당을 세웠다. 이로써 학문을 연구하는 강학(講學)공간과 제사를 지내는 제향 (祭享)공간을 모두 갖춘 정식 서원이 되었으며, 철종 14년(1863)에 '병산'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고종 때 흥선 대원군이 서원철폐령을 내렸을 때에도 헐리지 않고 그대로 존속된 47개의 서원과 사당 중 하나이다.

서원의 정문인 복례문과 만대루를 지나면 강당과 동재, 서재가 있다. 동재 뒤편으로 서 있는 것은 서원관리인이 살았던 고직사(庫直舍) 이고, 입교당의 서쪽 뒤편에 서 있는 것은 목판과 유물을 보관하는 장판각(藏板閣)이다. 입교당의 동쪽 뒤편에 있는 계단을 오르면 사당으로 들어가는 내삼문과 사당인 존덕사(尊德)가 있고, 내삼문 동쪽에는 전사청(典祀廳)이 있다. 열려 있는 복례문 앞에 서서 안쪽을 바라보거나, 서원안에서 만대루를 통해 바깥을 내다보면 어디하나 막힘이 없이 탁 트여 있어 건물과 건물 밖의 자연이 하나인 듯 느껴진다.

병산서원은 서원이 번성하던 시기의 한 본보기로 여겨질 만큼 지은 솜씨가 빼어나고 보존이 잘 되어 있으며,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지은 점에서 '한국 서원 건축의 백미'로 이름나 있다.

- 안내문에서 -

 

 

 

 

 

 

 

 


 

 

 

 만대루

만대루는 휴식과 강학의 복합공간이다. 200여명을 수용하고도 남음직한 장대한 이 누각에는 다른 서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면이 있다. 휘어진 모습 그대로 서 있는 아래층의 나무 기둥들과 자연 그대로의 주춧돌, 커다란 통나무를 깎아 만든 계단, 구이도는 강물의 형상을 닮은 대들보의 모습은 건축물조차 자연의 일부로 생각했던 조상들의 의식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하다.

'만대'는 두보의 시 '백제성루()' 중 '푸른 절벽은 저녁 무렵 마주하기 좋으니()'라는 구절에서 따왔다. 그 이름처럼 해질 무렵에 2층 누각에 올라서 바라보는 낙동강과 병산의 경치는 이곳의 경치 중 으뜸이다.

- 안내문에서 -

 

 

 

 

 

 

 

 

 

 

 

 

 

 

 


 

 

 

 

 

 

 

 

 

 

 

 

 

 

 

 

 

 

 

 

 

 

 

 

 

 

 

 

 

1. 내삼문              2. 존덕사               3. 전사청                4. 관세대. 정료대

제향 영역

내삼문 존덕사 전사청

제향 영역은 제사를 지내는 공간과 이를 준비하는 공간이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서애 류성룡과 그의 셋째 아들인 수암 류진( 1582-1635)의 위패를 모신 존덕사()가 있다. 류진이 이곳에 추가로 배향된 것은 현종 3년 (1662)이다. 사당은 신성한 공간이며 위엄을 갖추어야 하기에 내삼문의 좌우로는 담장을 둘렀다. 경사진 지형에 서원을 짓고 가장 높은 곳에 사당을 배치한 것도 이러한 까닭에서이다. 또한, 강학 공간은 선비 정신에 따라 검소하고 단아하게 꾸민 데 비해, 제향 공간은 단청도 하고 태극문양으로 장식하고 있더 대조를 이룬다. 전사청()은 제사를 지내기 전날에 제수를 보관하던 곳으로, 평상시에는 제기와 제구를 보관한다. 사당과 같은 울타리에 있는 것이 보통인데, 이 서원의 전사청은 별도의 담장을 두르고 내삼문의 동쪽에 있다. 매년 음력 3월과 9월 조정일 (음력 1일-10일사이의 날 중 천간이 정()으로 된 날)에 향사를 지낸다.

- 안내문에서 -

 

 

 

 

 

 

보호수

고유번호 08-04-1

수종 : 배롱나무                                         지정일자 2008년 4월 7일

수령 : 380년                                             소재지 : 풍천면 병산리 30번지

수고 : 8 m                                                 관리자 : 안동시청

나무둘레 : 0.85 m

 

배롱나무

부처꽃과

원산지 : 아시아 (중국, 대한민국)

학명 : Lagerstroemia indica L.

크기 : 5m

꽃말 : 수다스러움. 웅변. 꿈. 행복

 

수피는 홍자색을 띠며 미끄럽다.

꽃잎은 붉은색으로 6-7장이고 모두 오글쪼글 주름이 잡혀있다. 7-9월에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이 오래 핀다고 하여 '백일홍나무'라 하였고, 세월이 지나면서 '배기롱나무'로 변했다가 지금의 '배롱나무'가 된 것이다.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즈럼나무라고도 한다.

국화과에 속하는 백일홍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배롱나무에 얽힌 전설이 있다.

옛날 남해안의 어느 바닷가 마을에서는 해룡(海龍)이 파도를 일으켜 배를 뒤집어 버리는 심술을 막기 위해 매년 처녀를 바치는 풍습이 있었다. 해마다 마을에서 가장 예쁘고 얌전한 처녀를 선발하여 곱게 화장을 시켜 바닷가 바위로 보내 해룡이 데려가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해, 마침 왕자님이 마을에 나타나 안타까운 사정을 듣고 처녀 대신 바위에 앉아 있다가 용을 퇴치한다. 마을 사람들의 환호를 받으면서 얼마 동안 머물던 왕자는 처녀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사랑에는 마가 끼는 법, 왕자는 마침 출몰한 왜구를 퇴치하기 위하여 100일 뒤에 다시 만나기로 하고 마을을 떠나버린다.

매일 먼 바다를 바라보며 왕자를 기다리던 처녀는 그만 깊은 병이 들어 100일을 다 기다리지 못하고 죽고 만다. 약속한 날짜에 돌아온 왕자는 그녀를 양지바른 곳에 묻어주고 서울로 되돌아갔다. 이듬해 무덤 위에는 나무 한 그루가 자라더니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마치 왕자를 기다리듯 매일 조금씩 피는 꽃이 100일을 넘겨 이어지므로, 사람들은 이 나무를 백일홍나무라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