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마이산 탑사 안내도. 진안군(鎭安郡) 본문
마이산 탑사 안내도. 진안군(鎭安郡). 전북
1. 대웅전 2. 산신각 3. 영신각 4. 종각
5. 요사채 6. 안내판 7. 회관 8. 천지탑
9. 오방탑 10. 미륵불 11. 이처사좌상 12. 약수터
13. 일광탑 14. 월광탑 15. 중앙탑
마이산 석탑
전라북도 지방 기념물 제 35호
소재지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마이산 석탑은 1885년에 입산하여 솔잎으로 생식하며 수도한 이갑룡(李甲龍, 1860-1957) 처사(處士)가 30여년 동안 쌓아 올린 것이다.
이곳 탑사(塔寺)에는 당시에 120기의 탑들이 세워져 있었지만 현재에는 80기만 남아 있다.
대부분은 주변의 천연석으로 쌓아졌지만 천지탑 등의 주요 탑들은 전국 팔도의 명산에서 가져온 돌들이 한두 개씩 들어가 심묘한 정기를 담고 있다.
마이산 석탑은 섬세하게 가공된 돌들로 쌓아진 신라 왕조의 탑들과는 달리, 가공되지 않은 천연석을 그대로 이용했다.
'막돌허튼식'이라는 조형 양식으로 음양의 이치와 팔진도법이 적용된 이 탑들은 정성과 탁월한 솜씨로 쌓아졌다.
탑사 내의 탑군을 이루는 탑들은 천지탑(天地塔), 오방탑(五方塔), 약사탑(藥師塔), 월광탑(月光塔), 일광탑(日光塔), 중앙탑(中央塔, 흔들탑)과 이 탑들을 보호하는 주변의 신장탑(神將塔)들처럼 제각기 이름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심한 바람에도 약간 흔들릴 뿐 무너지지 않는 탑에서 경이로움을 맛볼 수 있고, 특히 겨울철에도 탑단에 물 한 사발을 올려놓고 성심으로 기도하면 역고드름이 하늘을 향해 자라나는 신묘한 현상을 관찰할 수도 있다.
또 탑사 내에 두 권의 서책이 전해 내려 오는데 당시에는 이갑룡 처사가 산신들의 계시를 받아 적은 서른 권 분량의 책이 있었다고 한다.
마이산 도립공원 내에 위치한 이곳 탑사는 여러 유적들, 특히 대웅전, 산신각, 미륵불, 종각, 요사채 등이 있어 명실상부한 전통 사찰로 자리 잡았고 훌륭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
- 안내문에서 -
전국 명산 중 기(氣)가 가장 센 곳으로 유명한 마이산(馬耳山)은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에 앞서 이 산에 와서 기도를 올리고 산 이름을 속금산(束金山)이라 하였으며 이후 조선조 3대 임금인 태종이 산이 흡사 말의 귀를 닮았다 하여 말 마(馬)자에 귀 이(耳)자를 써서 마이산(馬耳山)이라 이름진 명산입니다.
마이산에는 두 가지의 신비스러움이 있는데,
첫째는 자연석 석탑물이 어떠한 강풍이나 비바람에도 흔들리기만 할 뿐 무너지지 않은 채 120여년을 그대로 유지해오고 있는 것고,
둘째는 겨울철이면 탑 단위의 정화수 그릇에서 역고드름이 솟아 오르는 현상입니다.
마이산에서도 천지탑은 기가 가장 센 곳으로, 여기에서 기도를 하게 되면 누구든 한 가지 소원은 반드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모 방송사에서 소원바위라는 프로그램을 내보낸 이후 전국 경향각지에서 많은 참배객이 찾고 있는 소원성취의 성지가 되었습니다.
탑사 경내지 비둘기 식당 자리에 전국 유일의 탑박물관을2015년 완공을 목표로 현재 건립공사를 진행중에 있는데, 탑박물관이 완공되면 마이산과 탑사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재탄생하게 될 것입니다.
탑사(塔寺)의 석탑군은 1,880년경부터 탑사의 창조주 이갑룡 처사께서 30여년에 걸쳐 축조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특히 80여 기의 석탑군은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어 마이산 볼거리 중 으뜸으로 치고 있습니다.
암마이산 절벽에는 35년생 능소화가자라고 있는데 능소화가 만개하게 되면 그 경이로움과 신비스러움만으로도 마이산의 새로운 관광자원이 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줄사철나무 또한 탑사을 중심으로 한 바위에 군락을 이루고 있어 이곳이야말로 천혜의 관광명소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내문에서 -
'나라안 나들이 > 전라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갑룡 처사. 진안군(鎭安郡) (0) | 2015.05.10 |
---|---|
천지탑(天地塔). 진안군(鎭安郡) (0) | 2015.05.10 |
공작(孔雀. peacock). 진안군(鎭安郡) (0) | 2015.05.10 |
탑사(塔寺). 진안군(鎭安郡) (0) | 2015.05.10 |
탑영제. 진안군(鎭安郡) (0) | 201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