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내행전(內行殿).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본문
내행전(內行殿).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경기도(京畿道)
내행전(內行殿)
Naehaengjeon. King's Living Quarters
상궐 내행전은 왕이 잠을 자고 생활하던 공간이다. 인조2년(1624)에 처음 지어졌으며,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전체 28칸(167㎡)의 건물이다. 가운데 3칸은 대청으로 되어있고, 좌우 2칸씩은 온돌방과 마루방이다. 대청을 제외한 3면에는 퇴칸을 두었다.
내행전의 기둥 위쪽 공포는 새의 날개처럼 생긴 부재를 두 개 겹쳐 쌓은 이익공 형식으로 행궁 내 건물 중 가장 격식이 높다.
기단은 장방형으로 가공한 돌을 3단 쌓아 경사가 급하고 평지가 협소한 약점을 보완하면서 동시에 장엄한 외관과 안정감을 주도록 하였다. 팔작지붕에는 용문양과 봉황문양의 막새기와를 사용하였다. 현재 내행전은 2002년에 중건(重建)되었다.
조선고적도보. 1909
1. 한남루 漢南樓 2. 북행각(전시실) 北行閣(展示室)
3. 외행전 外行殿 4. 통일신라 건물지 統一新羅 建物址
5. 일장각 日長閣 6. 좌승당 左勝堂
7. 이위정 以威亭 8. 재덕당 在德堂
9. 내행전 內行殿 10. 통일신라 기와유구지 統一新羅 瓦積址
11. 좌전 左殿
내행전 재현 소품
왕의 침전
1. 십장생도 병풍 十長生圖 屛風
■ 장수를 상징하는 10가지 동.식물(십장생)을 그려놓은 전통 궁중 병풍
십장생 : 해, 구름, 물, 바위, 사슴, 거북, 학, 소나무, 대나무, 불로초 등의 10가지
복숭아, 대나무가 들어가기도 함
■ 영인본(한지인쇄). 8폭
2. 보료와 장침
■ 황룡과 청룡을 수놓은 여름용 궁중 보료와 장침
보료 : 방을 장식하기 위해 항상 깔아두었던 요
장침 : 긴 베개
3. 주칠 조각경상 經床
■ 주칠된 좌식 책상
주칠 : 누런색이 조금 섞인 붉은색의 칠
4. 연상 硯床
■ 벼루, 먹, 붓과 종이 등의 필기도구를 편리하게 사용. 보관하기 위한 상(床)
5. 주칠 사방탁자 四方卓子
■ 서책이나 완상품을 올려놓고 장식하는 사방이 트여있는 여러 층으로 된 탁자
완상품 : 즐겁게 구경하는 용도의 물건
6. 발, 발걸이
■ 여름에 창문이나 대청에 걸어 햇볕을 가리거나 공간을 구분하는 생활용품
■ 가늘고 기 대나무(대오리)를 명주실로 엮어 거북이 등 무늬를 넣은 것으로
임금의 장수를 비는 의미가 있음.
■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 23호 담양죽렴장 박성춘 제작
7. 묵호
■ 벼루에 쓰일 먹물을 담아놓고 편리하게 덜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물건
8. 대나무 지통 紙筩
■ 두루마리 종이를 꽂아 보관하는 대나무로 만든 통
9. 좌등 10. 주칠문갑
11. 유기촛대 12. 복숭아 연적
13. 붓(상아, 옥) 14. 필통
15. 방석 16. 종이 두루마리
대청
1. 일월오봉도 병풍 日月五峯圖 屛風
■ 왕과 왕비를 상징하는 해와 달, 다섯개의 봉우리가 그려진 궁중 장식 병풍으로
왕권과 백성들의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의미가 있음.
■ 영인본(한지 인쇄). 6폭
2. 교의 交椅
■ 접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든 의자
3. 향로 香爐
■ 향을 피우는 그릇
■ 중요무형문화재 제 77호 유기장(鍮器匠) 이봉주 제작
유기장(鍮器匠) : 놋쇠로 각종 물건을 만드는 기술과 그 기술을 가진 사람
4. 향상
5. 준상, 도자기
6. 좌등
7. 탁자
세자의 침전
1. 사계산수도 병풍 四系山水圖 屛風
■ 조선시대 사계산수도 병풍 중 봄, 가을을 그린 산수도
■ 6폭
2. 서안 書案
■ 앉아서 책을 읽고 글을 쓸 때 사용하는 책상
3. 연상 硯床
■ 벼루와 먹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만든 상
보통은 뚜껑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상은 뚜껑이 없는 형태임
4. 문갑 文匣
■ 안방의 보료 옆이나 창 밑에 두고 문서, 편지, 서류 등 개인적인 물건이나
일상용 물품 등을 보관하는 가구
5. 서견대 書見臺
■ 책을 비스듬히 놓고 읽을 때 쓰는 독서대
6. 사방탁자장 四方卓子欌
■ 문방용품 등을 올려놓고 장식하는 사방탁자로 1층은 물건을 넣어둘 수 있는
장(欌)이 달려 있는 형태
7. 대나무 필통
■ 필통은 보통 문갑위에 돌려져 사용 되었으며, 전시된 필통은 내나무 3개로 만들어짐
8. 문서함
9. 보료와 장침
10. 발, 발걸이
11. 방석
12. 벼루
13. 사가묵호
14. 붓
15. 유기촛대
16. 지통
17. 종이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덕당(在德堂).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
---|---|
고목.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
상궐남행각.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
외행전(外行殿).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