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통합기준점.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기도

통합기준점.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세계속으로 2015. 10. 15. 17:43

통합기준점.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경기도()

 

 

 

 

 

통합기준점

이 시설은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가기본측량에 의하여 결정된 지리좌표(경도, 위도, 표고 등)을 표시한 통합기준점입니다.

이곳 화강암표지위(십자선교점)에서의 각종 측량방법(GPS 측량, 삼각측량, 수준측량 등)을 통해 이 기준점이 없는 다른지점의 지리좌표(지구상 위치)를 정확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음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이 기준점을 전국에 2-3km 간격으로 설치하여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를 위한 국가기본측량, 지적측량, 공공측량 등의 기준을 제공하고 나아가 지각변동 등에 의한 국토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등 국토공간정보의 구축과 다양한 사용을 위한 중요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아래와 같이 그 성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측정번호

  U수원08

지리좌표

  위도(N) 37도 28분 40.86초

  경도(E) 127도 11분 01.88초

  표고(H) 329.7 m

비고

  측량의 기준은 세계측지계

  표고 = 높이 = 해발고도

 

1. 위의 좌표는 근사값이므로 정확한 측량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정확한 측량을 위하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측량성과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 국가 기준점 현황정보 및 사용방법 : QR 코드 참조

 -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측정 방법 : QR 코드 및 뒷면 참조

http://www.ngii.go.kr

 

지구타원체와 현위치

 

 

높이측정 개념도

 

해발고도의 이해

● 산높이(해발고도) = 1,000 m (50m + 950m)

   - 평균해수면으로부터 통합기준점까지의 해발고도 = 50m

   - 통합기준점에서 산꼭대기 까지 높이차 = 9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