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용문사 안내도(龍門寺 案內圖). 용문사(龍門寺). 양평군(楊平郡)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기도

용문사 안내도(龍門寺 案內圖). 용문사(龍門寺). 양평군(楊平郡)

세계속으로 2015. 11. 12. 16:11

용문사 안내도(龍門寺 案內圖). 용문사(龍門寺).

양평군(楊平郡). 경기도(京畿道)

 

 1. 대웅전                                                     2. 삼성각

 3. 범종각                                                     4. 지장전

 5. 관음전                                                     6. 요사

 7. 일주문                                                     8. 불사리탑

 9. 미륵불                                                     10. 정지국사부도 및 비

11. 부도전                                                    12. 화장실

13.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 30호)

 

용문사 龍門寺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5

 

신라 신덕왕 2년 (913) 대경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일설에는 경순왕 (927-935 재위)이 친히 행차하여 창사하였다고 한다.

고려 우왕 4년(1378) 지천대사가 개풍 경천사의 대장경을 옮겨 봉안하였고 조선 태조 4년(1395) 조안화상이 중창하였다. 세종 29년 (1447) 수양대군이 모후 소헌왕후 심씨를 위하여 보전을 다시 지었고 세조 3년 (1457) 왕명으로 중수하였다. 성종 11년 (1480) 처안 스님이 중수한 뒤 고종 30년 (1893) 봉성대사가 중창하였으나 순종 원년 (1907) 의병의 근거지로 사용되자 일본군들이 불태웠다.

1909년 취운스님이 큰방을 중건한 뒤 1938년 태욱스님이 대웅전, 어실각, 노전, 칠성각, 기념각, 요사 등을 중건하였으며, 1982년 선걸스님이 주지로 취임하여 대웅전, 삼성각, 범종각, 지장전, 관음전, 요사, 일주문 등을 새로 중건하고 불사리탑, 미륵불을 조성하였다.

경내에는 권근이 지은 보물 제 531호 정지국사 부도 및 비와 천연기념물 제 30호 은행나무가 있다.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양평의병 전투지 - 용문사

관리번호 15-1-26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용문사

소재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로 782

 

1907년 후기의병 당시 양평의병의 근거지였던 곳이다.

일제가 광무황제를 강제 퇴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시키면서 의병의 대일항전은 더욱 격화되었다. 이즈음 양평의병은 용문산의 용문사를 비롯하여 상원사, 사나사를 근거지로 삼아 활동하였다.

권득수 의병장은 의병을 모집하여 용문사에 식량과 무기를 비축해 놓고 항일활동을 펼쳤다. 조인환 의병장은 용문사를 근거지로 삼아 인근 지역의 관아와 파출소, 우편소 등을 습격하여 일제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양평의병이 활발하게 항일전을 전개하자, 일제는 의병을 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였다. 양평의병은 1907년 8월 24일 일본군 보병 제 52연대 제 9중대와 용문사에서 격전을 벌였다. 이때 용문사는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었다가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복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