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남한산성(南漢山城) 도립공원 안내. 광주시(廣州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기도

남한산성(南漢山城) 도립공원 안내. 광주시(廣州市)

세계속으로 2016. 2. 4. 15:36

남한산성(南漢山城) 도립공원 안내. 광주시(廣州市). 경기도(京畿道)

 

사적 제57호

 

남한산성은 조선시대 뿐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곳이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몽고의 침입을 격퇴한 곳이기도 하고 일제강점기엔 항일운동의 거점이 되기도 한 곳이다. 그러나 남한산성은 주로 병자호란으로 기억되는 곳이다. 조선인조 14년(1636)에 청나라가 침략해오자 왕은 이곳으로 피신하여 항전하였으나, 왕자들이 피신해 있던 강화도가 함락되고 패색이 짙어지자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 나가 치욕적인 항복을 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남한산성은 패배을 알지 못하는 곳이다. 성의 외부는 급경사를 이루어 적의 접근이 어렵고, 내부는 경사가 완만하여 넓은 경작지와 물을 갖춘 천혜의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에, 병자호란 당시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청군에 함락당하지 않고 47일이나 항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오랜 기간동안 우여곡절을 가진 성의 역사처럼 성곽의 형태 또한 단순하지 않아서 하나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본성, 봉암성, 한봉성, 신남성과 5개의 옹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이다. 인조 4년(1626)에 중앙부의 가장 큰 폐곡선인 본성이 완성되었고, 병자호란 이후 방어력을 높이기 위하여 동쪽의 봉암성, 한봉성 등을 비롯하여 여러 차례 증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탐방코스 Tour Course 

● 제 1코스 (3.8km. 80분)

   산성로타리 - 북문(0.4km) - 서문(1.1km) - 수어장대(0.6km) - 영춘정(0.3km) - 남문(0.7km) - 산성로타리(0.7km)


● 제 2코스 (2.9km. 60분)

 산성로타리 - 영월정(0.4km) - 숭렬전(0.2km) - 수어장대(0.6km) - 서문(0.7km) - 국청사(0.1km) - 산성로타리(0.9km)


● 제 3코스 (5.7km. 120분)

 도립공원관리사무소 - 현절사(0.1km) - 벌봉(1.8km) - 장경사(1.5km) - 망월사(1.1km) - 지수당(1.0km) - 도립공원관리사무소(0.2km)


● 제 4코스 (3.8km. 80분)

 산성로타리 - 남문(0.7km) - 남장대터(0.6km) - 동문(1.1km) - 지수당(0.5km) - 개원사(0.3km) - 산성로타리(0.6km)


● 제 5코스 (7.7km. 200분)

 도립공원관리사무소 - 동문(0.6km) - 동장대터(1.1km) - 북문(1.6km) - 서문(1.1km) - 수어장대(0.6km) - 영춘정(0.3km) - 남문(0.7km) - 동문(1.7km)


1. 남한산성 행궁                                         2. 수어장대

3. 숭렬전                                                   4. 청량당

5. 현절사                                                   6. 침괘정

7. 연무관                                                   8. 지수당

9. 장경사                                                   10. 망월사

11. 개원사                                                  12. 제 1남옹성

13. 제2남옹성                                              14. 남문(지화문)

15. 서문(우익문)                                          16. 연주봉옹성

17. 북문(전승문)                                          18. 동문(좌익문)

19. 장경사신지옹성                                      20. 동장대터

21. 봉암성                                                  22. 벌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