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탁지부측량소 삼각점(度支部測量小 三角點).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본문
탁지부측량소 삼각점(度支部測量小 三角點).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경기도(京畿道)
탁지부측량소 삼각점(度支部測量小 三角點)
지정종별 : 광주시 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7호
위치 :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815-1
대한민국 말기(1908~1910년초) 탁지부(度支部)에서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건국 이래 최초로 경기도와 경상북도의 일부 지역에 지적세부측량(地籍細部測量)의 기준이 되는 삼각점(三角點)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1910년 8월 경술국치 후 조선총독부에서 전국적인 토지조사 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한반도에 일제히 삼각점을 설치하면서, 이와 구별하기 위하여 탁지부에서 설치한 삼각점을 구소삼각점(舊小三角點)이라고 하였다.
이곳 경기도 남한산성 도립공원의 수어장대에 설치되어 있는 구소삼각점은 '장대(將坮)'라고 불리며 머리부분에 "+"자가 새겨져 있고 모서리에는 '度支部'라고 음각되어 있으며 정확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소재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815-1 (지목 : 사적지)
위도 : 37˚ 20' 37'' 445
경도 : 127˚ 10' 32'' 180
해발고도 : 495.34 m
탁지부에서 설치한 구소삼각점은 현재 전국에 10여 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적사(地籍史)적 측면에서 볼 때 매우 귀중한 유물로써, 삼각점으로는 우리나라 최초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몰(日沒).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0) | 2016.02.04 |
---|---|
제6암문(暗門)(서암문).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0) | 2016.02.04 |
무망루(無忘樓).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0) | 2016.02.04 |
청량당(淸凉堂).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0) | 2016.02.04 |
수어장대(守禦將臺).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0) | 2016.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