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나미나라 공화국 국립기상대. 남이섬. 춘천시(春川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강원도

나미나라 공화국 국립기상대. 남이섬. 춘천시(春川市)

세계속으로 2016. 2. 20. 14:48

나미나라 공화국 국립기상대. 남이섬. 춘천시(春川市). 강원도(江原道)

 

 

 

자동기상 관측장비 (Automatic Weather System)

나미나라 기상대 소개

나미나라 기상대는 전국에서 548번째로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로 2011년 6월 7일 첫 관측을 시작으로 매분마다 기온, 습도, 풍향, 풍속, 강수량 등 현재 기상상태를 관측 하여 방문객에게 알려주고, 나미나라에서 수집된 관측자료는 기상청으로 보내져 강원 영서지역의 기상예보. 기상정보. 기후변화 등의 업무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자동기상관측장비란 ?

기온, 습도, 바람, 강수량 등 여러 가지의 기상상태를 관측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비로 관측자료를 수집하고 전송하는 일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비입니다.

과거에는 백엽상에서 사람이 직접 눈으로 관측하였는데 기상청에서는 1991년부터 현대화된 장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관측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에 15Km 간격으로 총 548대의 장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백엽상은 ?
기온이나 습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온도계, 자기습도계 등을 넣어 실외에 설치한 작은 집모양의 나무상자로 <백엽상(百葉箱)>이라는 이름은 사방의 벽을 약 100개의 나무판자 조각으로 조립해서 만든데서 유래했습니다.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판을 60도정도 비스듬히 안쪽과 바깥쪽의 두 겹으로 붙였으며, 햇빛을 잘 흡수하지 않도록 겉에는 흰색 칠을 하고, 문은 북쪽을 향하도록 만들며, 밑면은 지면으로부터 1~1.5m 높이가 되도록 설치합니다.

 

강수량계

일정기간 동안 내린 비 또는 눈, 우박 등의 물(강수)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물의 높이를 mm(미리미터) 단위로 표시하고 있음.

조선시대에는 측우기를 이용하여 강수량을 측정하였으나, 현재는 원통형 모양의 장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강수량을 측정함.

 

온도계, 습도계

주위 공기의 차고 뜨거운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공기의 온도 변화를 관측하여 섭씨온도(℃)로 나타내고, 습도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대습도를 관측함.

 

풍향계. 풍속계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풍향이라 하며, 이 풍향을 측정하는 장비(풍향계)로 동풍, 서풍, 남풍, 북풍, 북동풍, 북서풍, 남동풍, 남서풍 8방위를 표시하고 더 세분화하여 16방위를 표시하기도 함. 또한 풍속은 공기가 일정한 시간동안에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바람의 세기에 따른 힘이 3개의 컵 모양에 전달되어 컵의 회전수와 비례하여 풍속을 측정함.

 

강수유무센서

강수현상(비, 눈, 우박 등)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강수의 시작과 종료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장비임.

 

자료수집 처리장치

각 관측센서에 전기를 공급하고, 각각의 관측센서에서 관측된 자료를 수집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기상청에 보내 주는 장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