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측우기(測雨器).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기도

측우기(測雨器).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세계속으로 2016. 3. 10. 15:54

측우기(測雨器).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경기도(京畿道)

 

측우기(測雨器)

측우기는 강우량을 측정하가 위하여 세종 23년(1441)에 세계 최초로 발명한 우량계이다

세종대왕은 땅속에 스며 든 빗물의 깊이를 자로 재어 강우량을 측정하던 종래의 불완전한 방법을 철로 주조한 원통형 우량계를 발명, 강우량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확히 측정케 하였다. 지방에서는 서울의 철제 측우기의 모형으로 자기나 와기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유감스럽게도 이때 작품들은 남아 있지 않다.

이 측우기는 현존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금영측우기를 본뜨고 대석은 기상청에 보관중인 관상간 측우대를 본떠 제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