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고창읍성(高敞邑城) 안내. 고창군(高敞郡) 본문

나라안 나들이/전라북도

고창읍성(高敞邑城) 안내. 고창군(高敞郡)

세계속으로 2016. 5. 8. 10:31

고창읍성(高敞邑城) 안내. 고창군(高敞郡). 전북(全北)

 

 

 1. 북문(공북루)

 2. 옥 

 3. 관청 

 4. 작청 

 5. 풍화루 

 6. 장청 

 7. 서청 

 8. 향청 

 9. 내아 

10. 동헌 

11. 팔각정 

12. 객사 

13. 성황사 

14. 서문(진서루) 

15. 동북치 

16. 동문(등양루) 

17. 동치 

18. 동남치 

19. 남치 

20. 서남치 

21. 서북치

22. 맹종죽 

23. 연못 

24. 약수터 
25. 화장실  

 

고창읍성(高敞邑城)

사적 제 145호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고창읍성(高敞邑城)은 조선 단종 원년 (1453) 에 왜침(倭侵)을 막기 위하여 전라도민들이 유비무환의 슬기로 축성한 자연석 성곽이다.

일명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 이 성은 나주 진관의 입암산성과 연계되어 호남 내륙을 방어하는 전초기지로 만들어진 읍성이다.

1965년 4월 1일 사적 제 145호로 지정된 이성의 둘레는 1,684 m, 높이 4-6m, 면적은 165,858 ㎡ 로 동, 서, 북문과 3개소의 옹성(甕城) 6개소의 치성(雉城)비롯하여 성밖의 해자(垓字)등 전략적 요충시설이 두루 갖추어져 있다.

성내에는 동헌(東軒), 객사(客舍) 등 22동의 조선시대 관아(官衙)건물이 있었으나 병화(兵火)등으로 소진(燒盡)된 것을 1976년부터 복원해 오고 있다.

'윤달에는 돌을 머리에 이고 성곽을 3회 돌면 무병장수하고 극락승천 한다는 전설이 있어 지금도 부녀자들의 답성()풍속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