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와형석조여래불(와불:臥佛).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본문
와형석조여래불(와불:臥佛).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전남(全南)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 273호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 8
운주사 계곡 서쪽 산 정상의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고 있는 석불 2구로, 일명 와불(누워 있는 불상)이라고도 한다.
좌상의 대불은 어깨의 폭에 비해 양 무릎 사이의 폭이 너무 넓어 인구(사람의 형상)의 균형을 잃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큰 불상에 속한다. 작은 불상인 입상의 수인(손 모양)이 시무외인* 여원인** 을 취한 것 같으나 어색하고 사실적이지 않다. 또한 옷 주름은 수직선과 사선으로만 처리하여 매우 단순하다. 전설에 따르면, 도선 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을 다 세우고 이 와불을 마지막으로 일으켜 세우려 했으나 새벽닭이 울어 중단했다고 한다. 이 두 석불은 운주사의 많은 석불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것이며, 크기도 각각 12.7m 와 10.3m 나 되어 국내에 있는 석불 중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 시무외인(施無畏印) : 부처가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주기 위하여 베푸는 인상(印相).
팔을 들고 다섯 손가락을 펴 손바닥을 밖으로 향해 물건 주는 시늉을 하고 있다.
** 여원인(與願印) : 모든 중생(衆生)의 소원을 이루어 줌을 보이는 결인(結印).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밖으로 향하여 드리우는 형상이다.
'나라안 나들이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
채석장.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석불군 바.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거북바위교차문 칠층석탑.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거북바위 오층석탑.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