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운주사(雲住寺) 안내도. 화순군(和順郡) 본문
운주사(雲住寺) 안내도. 화순군(和順郡). 전남(全南)
운주사지일원
사적 제 312호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용강리 일원
운주사는 돌로 된 석불석탑이 각각 1천구씩 있었던 우리나라의 유일한 사찰로 유명하다.
현재는 석불 93구와 석탑 21기 밖에 남아있지 않지만 1481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는 석불 석탑 각 1천구씩이 있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조선초기까지는 분명히 실재했었다고 판단된다. 현재 남아 있는 석불상은 10m의 거구에서 부터 수십cm의 소불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불상들이 산과 들에 흩어져 있다. 이들 불상은 대개 비슷한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평면적이고 토속적인 얼굴모양, 돌기둥 모양의 신체, 어색하고 균형이 잡히지 않은 팔과 손, 어핵하면서도 규칙적인 옷주름, 둔중한 기법 등은 운주사에 있는 불상만의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고려시대에 지바화된 석불상 양식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주고 있어서 흥미롭다. 아마도 석인상을 제작하던 석공들이 대거 동원되어 만든 고려 석불상이라 하겠다.
석탑 21기도 산야 여기저기에 즐비하게 서 있는데 둥근 원형탑, 원판형탑 같은 특이한 모야의 탑도 있으며 3층, 5층, 7층, 9층 등 층수도 다양한 편이다. 일반적인 사각형 탑들은 너비가 좁고 높이가 고준하여 옥개석이 평면적이어서 고려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연꽃받침석들이 더러 보이는 것 또한 고려양식의 특징이다. 특히 이 석탑에서 눈에 띄는 것은 기단이다 탑신석의 면석에 X ◇ III 같은 기하학 무늬들이 돋을새김과 선새김 등으로 새겨져 있는 점이다. 이러한 기하학적 무늬의 애용은 불상의 기하학적 주름과 더불어 이 운주사 유적의 가장 특징적인 양식으로 크게 주목된다. 이처럼 특이한 석불, 석탑 천여구씩이 한 절안에 봉안되어 있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예이어서 천불천탑에 대한 독특한 신앙을 보여 주는 가장 중요한 유적으로 높이 평가되며, 아울러 미술사 내지 불교사 연구에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운주사는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네차례의 발굴조사와 두차례의 학술조사를 하였지만 운주사의 정확한 창건시대와 창건세력, 조성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확증을 밝히지 못하여 여전히 신비로운 사찰로 남아 있다.
1. 매표소 |
2. 일주문 |
3. 구층석탑 |
4. 칠층석탑 |
5. 쌍교차문칠층석탑 |
6. 광배석불좌상 |
7. 석조불감앞칠층석탑 |
8. 석조불감 |
9. 원형다층석탑 |
10. 수직문칠층석탑 |
11. 해우소 |
12. 지혜당 |
13. 보제루 |
14. 종각 |
15. 행해당 |
16. 안심당 |
17. 법성료 |
18. 수선각 |
19. 원융당 |
20. 대웅전 |
21. 대웅전앞다층석탑 |
22. 지장전 |
23. 산신삭 |
24. 명당탑 |
25. 발형다층석탑 |
26. 미륵전 |
27. 마애여래좌상 |
28. 불사바위 |
29. 석불군 |
30. 거북바위오층석탑 |
31. 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 |
32. 시위불 |
33. 와형석조여래불(와불) |
34. 채석장 |
35. 칠성바위 |
36. 칠성바위앞칠층석탑 |
37. 오층거지석탑 |
|
|
주요문화재
보물 |
구층석탑, 석조불감, 원형다층석탑 |
유형문화재 |
와형석조여래불(와불), 광배석불좌상, 칠층석탑, 쌍교차문칠층석탑, 석조불감앞칠층석탑, 대웅전앞다층석탑, 칠성바위, 칠성바위앞칠층석탑, 발형다층석탑, 마애여래좌상, 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 |
문화재자료 |
거북바위오층석탑, 수직문칠층석탑 |
출처 : Homepage
'나라안 나들이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주사(雲住寺)(1).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
일주문(一柱門).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화순군 관광안내지도.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전라남도 관광안내도. 운주사(雲住寺). 화순군(和順郡) (0) | 2016.08.28 |
중흥골드스파 리조트. 나주시(羅州市) (0) | 2016.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