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강릉 경포대와 경포호. 강릉시(江陵市) 본문
강릉 경포대와 경포호. 강릉시(江陵市). 강원도(江原道)
강릉 경포대와 경포호 江陵 鏡浦臺와 鏡浦湖
명승 제105호
강릉 경포대는 고려 충숙왕 13년(1326) 당시 강원도 안렴사(按廉使) 박숙(朴淑)에 의해 현 방해정 뒷산 인월사(印月寺) 옛터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고 있고 이후 현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하나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현 위치로 옮겨 지은 후로 여러 차례 고쳐지었고,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1899년으로 이때 남쪽과 북쪽에 누마루를 가설하였고 득월헌(得月軒)과 후선함(候仙槛)이라 하였다 한다.
정면 5칸, 측면 5칸 규모인 단층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익공 양식에 2고주 가구(架構)<여려 재료를 결합하여 만든 구조>이며,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 율곡 이이 선생이 10세때 지었다는 경포대부(鏡浦臺賦)를 비롯하여 숙종의 어제시(御製詩) 및 유명한 문장가로 알려진 조하망(曺夏望)의 상량문 등 여러 명사들의 글이 걸려 있다.
경포호는 과거 바다였던 곳으로 해안사구로 막히면서 형성된 자연 석호(潟湖)이다. 호수 둘레는 원래 12Km 에 달했으나, 지금은 약 4Km 정도로 줄었다. 호수 수면이 거울같이 맑아 경호(鏡湖)라 부르게 되었으며, 사람에게 유익함을 준다 하여 군자호(君子湖)라고도 한다. 호수 가운데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쓴 조암(鳥岩)이 새겨진 바위와 월파정(月波亭)이 있다. 호수 주변에는 누정(樓亭)이 많기가 전국에서 으뜸으로 경포대를 비롯하여 해운정(海雲亭), 경호정(鏡湖亭), 금란정(金蘭亭), 방해정(放海亭), 석란정(石蘭亭), 창랑정(滄浪亭), 취영정(聚瀛亭), 상영정(觴詠亭) 등의 정자가 남아 있다. 관동팔경(關東八景)중 하나인 경포대는 경포호와 함께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다녀간 명승지로서 명사들의 수많은 시(詩), 서(書), 화(畫)가 있어 역사문화 경관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경포와 누정 鏡浦와 樓亭
경포대와 경포호 (현재모습)
경포호 항공사진(1969)-경포호 뱃놀이-경포호(1940)-경포대(1920)-경포대(1930)-경포대(1788. 김홍도)-경포대(정선)
경포대 鏡浦臺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경포대는 1326년 (충숙왕 13)에 건립되었다. 신라시대에는 화랑의 순례처로, 조선 후기에는 태조와 세조의 순력이 있었던 곳으로 유명하며 경포호수와 더불어 관동팔경 중 가장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경호정 鏡湖亭
1927년에 창회계 계원들에 의해 건립된 정자로, 경포호수가에 자리잡아 경호정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상영정 觴詠亭
1886년에 향토유림(鄕土儒林) 16인으로 구성된 상영계의 회원들이 건립한 정자이다.
금란정 金蘭亭
조선말기에 지어진 정자로, 원래 매학정(梅鶴亭)이었으나, 후에 금란계원이 주인이 되어 금란정으로 바뀌었다.
방해정 放海亭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0호)
1859년 (철종 10)에 통천군수였던 산석거사(山石居士) 이봉구(李鳯九)가 객사(客舍)의 재료들 중 일부를 사용하여 선교장의 부속 건물로 건립된 누각이다.
홍장암 紅粧岩
고려 말 강원도 순찰사로 강릉에 머물러 있었던 박신(朴信)이 강릉 충신인 기생 홍장과 사랑을 나눈 이야기가 전하며, 경포팔경 가운데 하나인 홍장야우(紅粧夜雨)에 해당되는 바위이다.
석란정 石蘭亭
갑인생 동갑계원 21인이 1956년 건립하였다. 돌과 같이 견고하고 난초와 같이 청아함을 상징한다.
창랑정 滄浪亭
임자년 출생 동갑계원인 영춘계, 십구동경계, 임자계의 계원들이 1962년 건립하였다.
월파정 月波亭
경포호수의 한가운데 새바위에 있는 정자로, 1958년 기해생(己亥生) 동갑계원 28명이 건립하였다. 월파정이란 이름은 경포호수에 비친 달빛이 물결에 흔들리는 것에 비유하여 지어졌다.
취영정 聚瀛亭
1893년 (고종 30)에 취영계 계원들의 모임장소로 건립된 정자로, 정자의 이름은 '사취 어영(士聚於瀛)' 즉 선비들이 임영(臨瀛)에 모였다는 의미이다.
* 임영 : 강릉의 다른 이름
허균. 허난설헌 기념공원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과 최고의 여류 문인으로 인정받고 있는 허난설헌 두 남매를 기념하기 위한 문학 공원이다.
환선정 喚仙亭
경포팔경 중 하나였던 환선취적의 유래가 되었던 환선정은 옛터만 남아 시문으로 전승되다 최근 새롭게 복원되었다.
'나라안 나들이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포대(鏡浦臺). 강릉시(江陵市) (0) | 2017.04.08 |
---|---|
경포대 벚꽃축제 야경(2). 강릉시(江陵市) (0) | 2017.04.08 |
경포대 벚꽃축제 야경(1). 강릉시(江陵市) (0) | 2017.04.08 |
구정휴게소. 강릉시(江陵市) (0) | 2017.04.08 |
옥계휴게소. 강릉시(江陵市) (0) | 2017.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