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석성산(石城山) 등산로 안내. 용인시(龍仁市) 본문
석성산(石城山) 등산로 안내. 용인시(龍仁市). 경기도(京畿道)
구간별 등산로 안내
1 문화복지행정타운-통화사-정상(4.0Km, 1시간30분 소요)
2 풍림아파트-통화사-정상(4.1Km, 1시간30분 소요)
3 관음사입구-통화사-정상(2.2Km, 1시간 소요)
4 석성초등학교 옆 은성사-정상(1.4Km, 40분 소요)
5 백현마을-천인사-정상(1.7Km, 45분 소요)
6 백령사-통화사-정상(1.3Km, 45분 소요)
석성산(石城山)의 유래
용인시 중심에 위치한 석성산(石城山, 해발 471.5m)은 기암괴석이 빚어낸 아름다운 산세와 고즈넉한 사찰이 어우러져 있어 많은 시민들이 즐겨찾는 명산이다.
석성산의 석은 石자, 성은 城자를 쓰는데 말 그대로 돌로 쌓은 산성이란 뜻이다.
석성산은 본래 보개산으로 불렸으나 1910년대 이후부터는 석성산이라고만 부르고 있다.
석성산은 본래 (구성산, 석성산, 보개산) 행정구역상 유방동, 역북동, 기흥구 중리, 포곡읍 마성리에 접해있다.
석성은 축성연대가 (475년) 지금으로부터 약 1,500년전에 고구려의 장수왕이 개로왕을 죽이고 쫓기는 백제군을 몰아 남하하던 고구려가 이곳을 장악했을 당시 축성한 것으로 추측된다.
길이는 약 2km인 자연석성은 성곽의 동문이 있었던 흔적으로 문이 남아있다.
산의 높이는 471.5m며 동쪽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서쪽으로 산세가 험악하며 정상에는 봉화대가 있었다.
석성산과 남산의 거리가 직선거리 40km이며 남산 봉화관측소, 안양 관악산, 원삼면 맹리 봉화대와 통신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지금은 통신대가 있어 군사적으로 천해요새이다.
이 산맥은 할미산성-터키참전지-성산-메주고개로 이어지는 한남정맥이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사. 용인시(龍仁市) (0) | 2018.02.08 |
---|---|
백령사(百寧寺) → 석성산(石城山). 용인시(龍仁市) (0) | 2018.02.08 |
석성산(石城山). 용인시(龍仁市) (0) | 2018.02.08 |
동백도서관. 용인시(龍仁市) (0) | 2018.02.08 |
상하동주민센터. 용인시(龍仁市) (0) | 201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