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합덕성당(合德聖堂) 안내도. 당진시(唐津市) 본문
합덕성당(合德聖堂) 안내도. 당진시(唐津市). 충남(忠南)
1. 성당 | 2. 야외미사장(잔디광장) |
3. 유스호스텔(피정의 집) | 4. 성가정상 |
5. 성가정동산 | 6. 성모동상 |
7. 성직자묘지 | 8. 역사관(구사제관) |
9. 다목적홀 | 10. 합덕방죽 |
합덕성당(성가정) / 合德聖堂(聖家庭)
Hapdeok Parish (Holy Family)
천주교 대전교구 합덕성당
합덕성당은 충청도 최초의 본당(本堂)이다. 1890년 양촌본당(초대주임 퀴를리에)으로 설립된 이후, 1899년 이곳 합덕리로 이전하면서 합덕본당이 되었다.
합덕지역은 한국천주교회의 창설 직후 천주교 신앙이 가장 적극적으로 전파된 이른바 '내포교회'의 중심지였다. 내포천주교회는 박해 동안에도 신자수가 끊임없이 늘어났고, 가장 많은 순교자를 탄생시켰다. 기나긴 박해가 끝나고 신앙의 자유가 찾아오자, 순교의 터전 위에 합덕성당을 세움으로써 순교자들의 염원이 결실을 맺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합덕성당은 순교의 열매인 동시에 새로운 신앙의 씨앗이 되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성직자. 수도자를 배출하였으며, 현재 대전교구 모든 성당들의 모본당(母本堂)이 된다. 하늘을 향해 두 손을 높이 올려 기도하는 성당의 형상처럼 지금도 변함없는 기도와 미사가 교우들에 의해 봉헌된다.
오늘도 간절이 올리는 교우들의 기도가 이곳을 순례하는 모든 이들에게 강복으로 되돌려 지기를 성인들의 전구에 기대어 청한다.
한편, 성당 자리는 1894(갑오)년 전라도 고부보다 앞서 발생한 합덕농민항쟁의 시발점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145호
당진시 합덕면 합덕읍 275
이 건물은 1929년 건축된 고딕 양식의 천주교 성당이다. 구 합덕성당의 전신은 1890년(고종 27년) 예산군 고덕면 상궁리에 설립된 양촌성당으로 1899년 초대 본당주임 퀴를리에 신부가 현 위치에 한옥성당을 건축하여 이전하고, 합덕성당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그 뒤 7대주임 패랭(白文弼) 신부가 1929년 현재 건물인 벽돌로 된 고딕양식 성당을 새로 지었다. 1960년 신합덕성당이 분할되어 독립함으로써 이름이 합덕성당에서 구 합덕성당으로 변경되었다가 그 후 다시 합덕성당으로 환원되었다.
합덕지방은 일찍부터 천주교의 사적지로 1866년(고종 3년) 병인박해(丙寅迫害) 때에는 여러 선교사들이 체포되기 전 피신하였던 곳으로 현 구합덕성당의 신리공소(新里公訴)에 당시의 유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나라안 나들이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선화. 합덕성당(合德聖堂). 당진시(唐津市) (0) | 2018.03.31 |
---|---|
합덕성당(合德聖堂). 당진시(唐津市) (0) | 2018.03.31 |
고무신. 유기방 가옥. 서산시(瑞山市) (0) | 2018.03.31 |
홍매화(紅梅花). 유기방 가옥. 서산시(瑞山市) (0) | 2018.03.31 |
복수초(福壽草). 유기방 가옥. 서산시(瑞山市) (0) | 2018.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