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상사(上寺)마을. 천안시(天安市) 본문
상사(上寺)마을. 천안시(天安市). 충남(忠南)
상사(上寺)마을 유래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상사(上寺) 마을은 지역내에 전통사찰 광덕사(廣德寺)가 있어 사하촌(寺下村)으로 형성된 곳이다.
백제시대에는 감매현(甘買縣) 고려시대 목주(木州)의 영역이었으며, 조선시대에 천안군 원일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조정 당시 천안군 원일면 대거리(垈巨里), 곡도치(曲道峙), 안심대(安心垈), 검단리(儉丹里), 만북동(萬北洞) 일대를 통합하여 광덕면 광덕리가 되었다.
광덕면의 남부로서 차령고갯길에는 조선조 인조대왕의 방문설화가 전해오며, 태화산(泰華山) 줄기에 있는 광덕사는 임란전까지 호서제일가람이었으며, 세조와 양녕대군 관련 지정문화재가 있다. 사계절 풍경이 좋아 연중 많은 사람들이 드나들고 있으며 광덕사 입구에는 고려 충렬왕 16년(1290년) 영밀공(英密公) 유청신(柳淸臣) 공께서 원나라 사신으로 다녀올 때 호두나무와 열매를 가져와 광덕사 경내에 처음 심었다고 하는 '호두나무시배지(始培地)'가 있어 천연기념물 제398호로서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가 지정되었다.
마을 위쪽 산등성이에는 이곳 출신으로 평안도 관찰사와 호조판서를 지낸 연천(淵泉) 김이양(金履陽)대감과, 조선시대 삼대 여류시인 중 한사람인 운초(雲楚) 김부용(金芙蓉)과의 시공을 초월한 사랑이야기가 담긴 두 묘역이 서로 마주하고 있어 많은 문인, 등산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마을은 광덕산록에 위치하여 구한말을 전후해 의병활동의 근거지 였으며, 갑오동학농민혁명 당시에는 피난처로서의 역할을 한 곳이며,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 백범(白帆) 김구(金九)선생의 은신처로서, 한때 고시촌(考試村) 형성으로 많은 인재를 배출한 곳이다. 마을앞을 흐르는 풍서천(豊西川)은 사계절 국민적 피서지 역할을 하는 자연발생 유원지이며, 산자수려하고 인심이 좋은 청정지역으로서 살기좋은 산간마을이며, 전통적으로 호두마을로서 감, 표고, 산채의 주산지 마을이다.
'나라안 나들이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덕사(廣德寺). 천안시(天安市) (0) | 2018.04.29 |
---|---|
일주문(一柱門). 광덕사(廣德寺). 천안시(天安市) (0) | 2018.04.29 |
괴불주머니. 물소리 바람소리. 공주시(公州市) (0) | 2018.04.29 |
물소리 바람소리. 공주시(公州市) (0) | 2018.04.29 |
매발톱. 물소리 바람소리. 공주시(公州市) (0) | 201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