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다산생태공원(2). 남양주시(南楊州市) 본문
다산생태공원(2). 남양주시(南楊州市). 경기도(京畿道)
1789년 (28살)
정조임금의 아버지(사도세자) 묘소에 참배하러 가기 편리하도록 한강에 배다리(배들을 나란히 엮어 강을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를 설계하다.
1792년 (31살)
거중기를 이용하여 화성을 쌓다. 공사비 4만냥을 아껴 백성들의 칭송을 받다.
삼미자집 (三眉子集)
다산은 태어나면서부터 영특하여 4세에 한자를 익히고, 7세에 '산'이라는 한시를 지었다. 10세 이전에 지은 <삼미자집> 이라는 문집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삼미는 정약용의 호이다. 어렸을 때 천연두를 앓아 오른쪽 눈썹에 흉터가 남아 눈썹이 세 개로 보인다 하여 삼미(三眉)라 불렸다.
제작 : 남양주시 다산문화제 추진위원회(2013년)
마과회통(麻科會通)
1798년(정조 22)에 마진(홍역)을 다룬 의학서로 이헌길이 <마진기방>을 중심으로 중국의 많은 마진 전문서를 참고하여 저술하였다.
우리나라에 유행한 마진을 중심으로 하여 그 병증을 관찰하고 치료방법을 기술하였고 부록에 제너의 우두방을 소개하고 있다.
6권 3책
제작 : 남양주시 다산문화제 추진위원회(2013년)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리조팝나무. 다산생태공원.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
페튜니아(Petunia). 다산생태공원.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다산생태공원(1).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개쉬땅나무. 다산생태공원.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
다우재. 다산 유적지. 남양주시(南楊州市) (0)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