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목포대교. 목포시(木浦市) 본문
목포대교. 목포시(木浦市). 전남(全南)
목포대교(木浦大橋, Mokpo Bridge)는 대한민국 목포시에 있는 국도 제1호선의 자동차 전용도로 교량으로, 죽교동과 유달동의 고하도, 허사도를 연결한다.
목포신외항과 서해안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목포의 관문으로 2012년 6월 29일에 개통된 다리이다.
대불산업단지 - 고하도, 허사도(목포신외항) - 목포대교 - 목포IC - 죽림 분기점 - 남악IC - 서영암IC - 대불산업단지로 구성된 사실상 목포외곽순환도로의 한 주축이다.
목포대교는 사장교 형식이지만, 세계에서 두 번째, 한국에선 최초로 시도된 3웨이 케이블공법이란 고난이도 공법을 사용함으로써 한국의 대교역사의 새로운 획을 긋고 있다.
일반적인 사장교는 상판 좌우측에 각각 2쌍의 케이블로 지탱하지만 3웨이 케이블공법은 좌우측의 케이블을 1쌍으로 줄이고 이를 상판의 중앙에 옮겨 상판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설계나 시공등에서 고난이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며, 케이블을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사장교 좌우측의 경관을 살릴 수 있는게 장점이다. 목포대교는 목포의 시조이며, 상징인 학을 형상화하여 우아한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또한 목포는 태풍이나 강풍이 자주 부는 지역이기 때문에 다리의 상판은 초속 67.4m, 주탑은 초속 74.9m의 강풍에도 견딜 수 있게 설계되었고, 또한 상판을 유선형으로 만들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시켰다.
북항~고하도 간 총연장 4.129km를 잇는 왕복 4차로로 3,346억 원을 투입, 길이 167.5m짜리 주탑 2개, 교각 36개, 상판 슬라브 36경간이 시공됐다.
사장교 형식은 3경간 연속 유선형강상판 강사장교(200+500+200m)이고, 주탑 모양은 다이아몬드형이다. 그리고, 케이블은 3웨이 120케이블(약 19,500m)이 시공됐다.
'나라안 나들이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량대첩 해전사 기념전시관. 해남군(海南郡) (0) | 2019.06.16 |
---|---|
우수영 유스호스텔. 해남군(海南郡) (0) | 2019.06.16 |
해빔목포비빔밥. 목포시(木浦市) (0) | 2019.06.16 |
목포 평화의 소녀상. 목포시(木浦市) (0) | 2019.06.16 |
노적봉(露積峯). 목포시(木浦市) (0) | 2019.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