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고인돌 유적. 고창군(高敞郡) 본문

나라안 나들이/전라북도

고인돌 유적. 고창군(高敞郡)

세계속으로 2010. 11. 21. 15:30

고인돌 유적. 고창군(高敞郡). 전북(全北)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고창 고인돌 박물관 : http://www.gcdolmen.go.kr/

 

 

 

 

 

고창 고인돌

그 다양한 형식

 고인돌 사회의 영역권은 주거지 등을 고려하여 200-600여 기의 고인돌이 대략 6 km 내외의 범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창지역을 중동부 산악권, 남동부 산악권, 서남부 구릉권 3개의 권역권으로

나눠 각 권역별 고인돌의 다양한 형식을 조명하고자 한다.

 

중동부산악권은 세계유산 고창고인돌유적을 중심으로 행정구역으로는 고창읍, 아산면, 심원면, 부안면,

신림면, 성내면이며,

남동부산악권은 성송면을 중심으로 고수면, 대산면이다.

또한 서남부구릉권은 해리면, 무장면, 상하면, 공음년이 영역이다.

 

중동부산악권은 세계유산 고창고인돌유적에서 볼 수 있듯이 전형적인 탁자식, 변형적인 탁자식 고인돌 등

전세계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다야한 형식의 고인돌과 거석화된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으며, 남동부산악권은 변형된 탁자식을 비롯하여 고창과 영광, 함평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는

주형고인돌이 다수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남부구릉권의 고인돌은 비교적 중동부, 남동부산악권

고인돌과는 달리 바둑판식, 개석식 등의 고인돌이 대부분이며, 고인돌을 축조하기 위해 돌을 다룬

흔적들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문화유산 고창 고인돌 유적 종합 안내도

 고창 고인돌은 밀집도가 높고 다양한 형식이 한곳에 있는 점이 높이 평가되어 화순과 강화의 고인돌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고창 고인돌은 모두 447기로 제1코스에서 제6코스(동서 1.76km)까지 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선사시대 우리 선조들의 삶을 조명하고 무덤 양식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코스별 고인돌 분포 현황

1코스 (53기) : 탁자식, 바둑판식, 개석식 등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이 능선을 따라 분포하고 있다.

2코스 (41기) : 옛 매산 마을과 인접한 지역임에도 고인돌의 훼손이 적고 대형 고인돌이 분포한다.

3코스 (128기) : 대체적으로 낮고 평평한 구릉지에 등고선을 따라 고인돌이 분포한다.

4코스 (채석장) : 23개의 채석장이 있으며 이곳에서 캐낸 암석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5코스 (220기) : 고인돌이 가장 많이 밀집된 지역으로 고인돌이 규칙적으로 줄지어 있다.

6코스 (5기) : 고인돌 유적지 남쪽 능선에 있으며 이곳에는 대포적인 탁자식 고인돌이 있다.

 

 

 

고창 고인돌 유적 : 제 3코스

이 지역은 고창 고인돌 유적의 중심에 있으며, 바둑판식 37기, 개석시 50기, 기타 41기 등 128기가 밀집해 있다.

이곳에는 무덤방이 지상에 드러난 지상석곽식 고인돌이 많은데 이 형식은 고창 고인돌의 특장이기도 하다.

 

지상석곽식 고인돌

Aboveground stone-lined type Dolmen

 

3코스의 중앙 아래쪽에 있는 이 고인돌은 산기슭의 끝 부분에 있으며, 덮개들은 길이 3.4m, 너비 3.2m,

두께 1.2m 쯤 된다.

장방형의 덮개들을 높이 42-61cm 쯤 되는 기둥 모양 굄돌 3개가 받치고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바둑판식과 달리 무덤방이 지상으로 올라와 덮개돌과 맞닿아 있는 독톡한 모습이다. 4장의 판석을 이용하여 무덤방을 만든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서쪽의 판석이 없어졌다.

이 고인돌은 지상석곽식 고인돌의 무덤방 형태와 특징을 잘 보여준다.

 

 

 

 

 

 

 

 

 

 

 

 

 

 

 

 

 

 

 

 

 

 

 

 

 

 

 

 

 

 

고창 고인돌 유적 : 제 5코스

이 지역은 상갑리와 봉덕리, 죽림리에 걸쳐 이어지며 고창 지역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동서로 줄지어 분포하고 고인돌은 바둑판식 65기, 개석식 130기, 기타 25기 등 220기 이고 2m 내외의 작은 고인돌이 많이 있다.

 

 

 

 

 

 

 

고창 고인돌 유적 : 제 4코스

고창 고인돌의 축조에 이용된 재료는 데사이트질 응회암과 안산 반암인데 이곳에서 채석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성틀봉 지점 15개소, 중봉 지점 8개소등 23개소에서 채석 흔적이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