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도산서원 안내문. 도산서원(陶山書院) (1). 안동시(安東市) 본문
도산서원 안내문. 도산서원(陶山書院) (1).
안동시(安東市). 경북(慶北)
http://city.andong.go.kr/dosan/open_content/ko/
퇴계 이황 선생은 연산군 7년 (1501) 현재의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출생하여 선조 3년 (1570)에 돌아가셨다.
34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단양군수, 풍기군수, 공조판서, 예조판서, 우찬성, 대제학을 지냈으며, 사후에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70여회나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연구, 인격도야, 후진양성에 힘써 이 나라 교육 및 사상의 큰 줄기를 이루었고 만대의 정신적 사표(師表)가 되었다.
선생은 명종 16년 (1561)에 도산서당을 세웠고 사후 4년만인 선조 7년(1574)에 문인과 유림이 서원을 세웠으며 선조 임금은 한석봉 친필인 도산서원(陶山書院)의 현판을 사액(賜額)하였다. 1970년에 정부에서는 서원을 보수 정화하여 성역화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계몽전의, 성학십도, 도산십이곡, 주자서절요, 심경후론, 활인심방, 예안향약, 자성록 등이 있다.
도산서원 경내 배치도
1. 도산서당(陶山書堂)
퇴계 선생께서 4년에 걸쳐 지으신 건물로 몸소 거처 하시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거처하시던 방은 '완락재(玩樂齋)'라 하고 마루는 '암서헌(巖栖軒)'이라 하였다.
2. 농운정사(隴雲精舍)
제자들이 공부하던 기숙사이다.
선생께서 제자들에게 공부에 열중하기를 권장하는 뜻에서 한자(漢字)의 '工'자 모양으로 짓도록 하였다.
공부하던 동편 마루를 '시습재(時習齋)'라 하고, 휴식하던 서편 마루를 '관란헌(觀瀾軒)'이라 하였다.
3. 광명실(光明室)
책을 보관하는 서고(書庫)로서 현판은 퇴계선생 친필이다.
동. 서 두곳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습해(濕害)를 방지하기 위하여 누각식으로 지었다
4. 동서재(東西齋)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유생들이 거쳐하면서 공부하는 건물로 지어진 집이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동편 건물을 '박약재(博約齋)', 서편 건물을 '홍의제(弘毅齋)'라 한다
5. 전교당(典敎堂)
- 보물 제 210호 -
서원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조선 선조 7년 (1574)에 건립된 대강당이다.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사액현판이 게시되어 있으며, 스승과 제자가 함께 모여 학문을 강론하던 곳이다.
6. 장판각(藏板閣)
서원에서 찍어낸 책의 목판본을 보관하던 장소이다.
선조어필, 퇴계선생 문집(文集), 유묵(遺墨), 언행록(言行錄), 병서(屏書), 도산십이곡 등의 목판 2,790장이 보관되었다가 2003년 5월에 한국국학진흥원으로 이관되었다.
7. 상덕사(尙德祠)
- 보물 제 211호 -
선생의 위패를 모셔 놓은 사당이다. 퇴계선생의 위폐와 제자인 월천 조목(月川 趙穆) 의 위패가 함께 모셔져 있다.
매년 춘, 추 (음력 2, 8월 中丁일)로 향사(享祀)를 지낸다
8. 전사청(典祀廳)
상덕사에서 향사를 지낼 때 제수(祭需)를 마련하여 두는 곳이다.
제수청과 주고(酒庫)가 있다.
9. 고직사(庫直舍)
서원을 관리하는 수호인(守護人) 들의 살림집으로 상. 하 두 고직사(庫直舍)가 있다.
10. 역락서재(亦樂書齋)
퇴계 선생이 도산서당에서 학문를 강론할때 정사성을 비롯한 뜻 있는 제자들이 힘을 합쳐 세웠다.
현판은 퇴계 선생 친필.
11. 시사단(詩士壇)
- 지방 유형 문화재 제 33호 -
조선 정조 16년 (1792)에 정조 임금이 평소에 흠모하던 퇴계선생의 학덕을 기리고 지방 선비들의 사기를 높여 주기 위하여 어명으로 특별 과거인 '도산별과(陶山別科)'를 보인 장소이다. 총 응시자가 7,228명이었고, 임금이 직접 11명을 뽑아 시상하였다
12. 석간대(石澗臺)
퇴계 선생께서 제자 이정(李楨/龜巖)과의 송별을 아쉬어하며 4편의 시를 적어 보냈다. 그 중 석별의 애틋함과 간절한 재회를 바라는 심경을 가장 잘 표현한 당나라 시인 유상(劉商)의 시를 후세 사람들이 이곳 바위에 새겼다.
그대가니 이 봄을 누구와 더불어 노닐고
새 울고 꽃 떨어져 물만 홀로 흐르네
이 아침 물가에서 그대를 보내노니
그리워 만나려면 물가로 다시 오리.
도산서원의 행사
향사(享祀)
퇴계 이황 선생의 유덕을 추모하는 행사로 민간차원에서 최고 최대의 전통적 제례행사이며, 매년 봄. 가을 서원에 있는 상덕사에서 봉행된다. 유교의 가치를 함께 공유하기 위하여 일반인들에게 참관을 허용하고 있다
도산별시(陶山別試)
1792년 (정조 16년) 도산서원에서 치루어진 도산별과(陶山別科)를 재현하는 전국 한시 백일장이다.
당일 경향각지에서 한시 동호인이 몰려든다
선비문화체험
의뢰와 신념을 실천하여 올바른 방향을 지도한 지혜 !
한국정신문화의 본질인 선비문화는 한국정신문화를 선도해 온 한국의 대표 정신문화 브랜드로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에서 체험할 수 있다.
생애 (生涯)
성(姓) : 이씨 (李氏)
이름(諱) : 황 (滉)
자(字) : 경호 (景浩)
호(號) : 퇴계 (退溪), 퇴도 (退陶)
시호 (諡號) : 문순공 (文純公)
관향 (貫鄕) : 진보 (眞寶) 또는 진성 (眞城)
부 (父) : 진사 (進仕) 이식 (李埴)
모 (母) : 춘천 (春川) 박씨 (朴氏)
사상 (思想)
퇴계 선생의 이기이원론적 주리론 (理氣二元論的 主理論) 은 이 (理:四端) 로서 기 (氣:七情)를 다스려 인간의 선한 마음을 간직하여 바르게 살아가고, 모든 사물을 순리로 운영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理 : 인간의 타고난 본성 → 사단 (四端)
측은지심 (惻隱之心) : 불쌍히 여기는 마음 (仁之端)
사양지심 (辭讓之心) : 양보하는 마음 (禮之端)
수오지심 (羞惡之心) : 부끄러워 하는 마음 (義之端)
시비지심 (是非之心) :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 (智之端)
氣 : 기질의 성 (性) → 칠정 (七情)
희 (喜) : 즐거워함
애 (愛) : 사랑함
노 (怒) : 노여워함
오 (惡) : 미워함
애 (哀) : 슬퍼함
욕 (欲) : 욕심을 부림
구 (懼) : 두려워함
매화연 (梅花硯)
도산서원 주변 관광지 안내
옥진각 진열 유품
일반유품
서기 | 옥서진 |
매화연 | 안석 |
청려장 | 추호 |
장추 | 혼천의 |
등경 | 백자타호 |
연갑 | 완석 |
흑단연 |
전적류
언행록 | 도산 12곡 |
자성록 | 삼경석의 |
사문수간 | 강회록 |
선생수적 | 어제발문 |
근사록 | 계몽전의 |
성학십도 | 유묵 외 78권 |
- 도산서원 안내문에서 -
'나라안 나들이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산서원(陶山書院) (3). 안동시(安東市) (0) | 2011.11.06 |
---|---|
도산서원(陶山書院) (2). 안동시(安東市) (0) | 2011.11.06 |
안동 하회마을 (6). 안동시(安東市) (0) | 2011.05.01 |
안동 하회마을 (5). 안동시(安東市) (0) | 2011.05.01 |
안동 하회마을 (4). 안동시(安東市) (0) | 2011.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