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대웅보전(大雄寶殿). 전등사(傳燈寺). 강화군(江華郡) 본문
대웅보전(大雄寶殿). 전등사(傳燈寺). 강화군(江華郡)
전등사 대웅보전(傳燈寺 大雄寶殿)
보물 제 178호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조선 광해군 13년 (1621)에 다시 지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목조건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장식구조인 공포가 기둥위 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기둥은 가운데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여 안정감을 주었으며, 네 모서리 기둥 윗 부분에는 벌거벗은 여인상을 조각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이것은 절을 짓던 목수의 사랑을 배반하고 도망친 여인을 조각한 것으로 나쁜 짓을 경고하고 죄를 씻게 하기 위해 추녀을 받치게 하였다고 한다. 대웅전 내부에는 삼존불이 모셔져 있으며, 천장은 용, 극락조, 연꽃 등으로 화려하게 채색하였고, 부처를 모신 불단과 닫집의 장식 또한 화려하다.
- 안내문에서 -
보물 제178호로 지정된 대웅보전은 규모는 작지만 단정한 결구에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서 조선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으로 손꼽힌다. 특히, 건물 내부 불단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하고 정치한 아름다움은 건축공예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보마다 용틀임으로 장식되면서 용두가 네 귀퉁이에서 돌출해 나오며 천장 주변으로는 연, 모란, 당초가 화려하게 양각되고 중앙 우물 반자 안에는 보상화문이 가득 채워져 있다.
더욱 희귀한 것은 물고기를 천장에 양각해 놓아 마치 용궁인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닫집 왼쪽 천장에는 양쪽에 용두장식을 하고 몸체에 용틀임을 한 작은 용가(龍架)의 배 부분에 아홉 개의 방울을 달아 놓고 끈을 달아 불단까지 늘여놓아 이를 잡아 흔들면 아홉 개의 방울이 동시에 울어 구룡토음의 장관을 이루게 했던 적도 있었다.
내부에 있는 유물로는 석가여래 삼존과 1880년에 그린 후불탱화, 1544년 정수사에서 개판한<법화경>목판 104매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의 건물은 1621년(광해군 13)에 지은 정면 3칸, 측면 3칸 형식의 목조 건물이다. 정면 3칸은 기둥과 기둥 사이를 같은 길이로 나누어 빗살문을 단 형식이다. 좌우 옆면은 벽이나 앞 1칸에만 외짝으로 문이 있다. 기둥은 대체로 굵은 편이며 모퉁이 기둥은 높이를 약간 높여서 처마 끝이 들리도록 했다.
대웅보전의 외관상 특징은 우선 비슷한 시기의 다른 건물에 비해 약간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곡선이 심한 지붕과 화려한 장식(나부상, 동물 조각, 연꽃 조각 등)이 그런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출처: 전등사
'나라안 나들이 > 인천광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로전(香爐殿). 전등사(傳燈寺). 강화군(江華郡) (0) | 2012.02.15 |
---|---|
강설당. 전등사(傳燈寺). 강화군(江華郡) (0) | 2012.02.15 |
종루. 전등사(傳燈寺). 강화군(江華郡) (0) | 2012.02.15 |
대조루(對潮樓). 전등사(傳燈寺). 강화군(江華郡) (0) | 2012.02.15 |
죽림다원. 전등사(傳燈寺). 강화군(江華郡) (0) | 201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