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삼랑성(三郞城)(일명 정족산성, 鼎足山城). 강화군(江華郡) 본문

나라안 나들이/인천광역시

삼랑성(三郞城)(일명 정족산성, 鼎足山城). 강화군(江華郡)

세계속으로 2012. 2. 15. 14:43

삼랑성(정족산성). 강화군(江華郡)

삼랑성(三郞城)

 

사적 제 130호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 41


 

일명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한다. 성을 쌓은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단군이 세 아들에게 성을 쌓게 하고 이름을 삼랑성이라 했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보인다. 처음에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는데 삼국시대에 이르러 그 위에 막돌을 맞추어가며 쌓았고 성체 안에는 막돌을 채운 튼튼한 석성으로 축조되었으며, 고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더욱 보강되었다. 성안에는 전등사는 물론 고려시대에슨 가궐(假闕), 조선시대에는 사고와 선원보각이 있었다. 병인양요 때(1866) 양헌수 장군이 프랑스군을 물리쳐 이곳에 보관된 <조선왕조실록>과 왕실 족보인 <선원보>를 지켰다. 1976년에 남문인 종해루를 원형대로 복원했다.

 

- 안내문에서 -

 

전등사 일대를 에워싸고 있는 삼랑성은 국가사적 제13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성은 고대 토성의 흔적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단군의 세 아들인 부여·부우·부소가 쌓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후 토성 자리에 표면이 거친 할석(割石)으로 성을 쌓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삼랑성은 성 안팎을 할석으로 겹축했으며 할석 사이마다 할석 부스러기로 쐐기를 많이 사용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해발 222m인 정족산의 정상에서 동향한 계곡을 포용하고, 동남향한 계곡에 수구와 남문이 있다. 북문은 북벽의 서쪽에 치우쳐 산봉우리 사이의 안부에 있고, 서문도 서남쪽 안부에 있으며, 동문은 남문의 북쪽으로 해발 107m의 봉우리 북쪽 안부에 있다.
성벽이 꺾어 도는 곳마다 10여 개의 곡성을 이루며,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을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치성(雉城)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출처: 전등사

 

삼랑성(정족산성)에는 본래 동서남북 네 군데에 출입문이 있었다. 그 중 지금까지 이용되는 것은 동문과 남문이며 전등사 사거리에서 전등사로 진입할 때 가장 먼저 보이는 문이다. 전등사에는 여느 사찰과는 달리 일주문이나 불이문이 없다. 그 대신 호국의 상징이었던 삼랑성 동문과 남문이 일주문 구실을 하고 있다. 동문 안쪽에는 양헌수 장군의 승전비가 세워져 있다.

출처: 전등사

 

 

 

 

 

 

 


종해루(宗海樓)

전등사의 출입구는 두 군데에 있다. 전등사 사거리 쪽에서 주차장으로 진입하자마자 나오는 출입구가 동문이고 동문에서 약 500미터쯤 남쪽으로 진행하면 남문 주차장이 있다. 본래 삼랑성(정족산성)에는 동서남북 네 개의 문이 있었으나 지금은 동문과 남문만 이용된다. 이 가운데 문루(門樓)가 있는 곳은 남문이 유일하며 남문의 문루를 ‘종해루’라 부른다. 이 종해루를 지나 50미터쯤 올라 좌측을 보면 전등사 역대 조사들의 부도가 세워진 부도전이 보인다.

출처: 전등사

 

 

 

 

 

 

 

 

 

 

 

 

 

 

 

 

 

 

 

소나무를 우리말로는 솔이라 부르는데, '솔'은 높고 으뜸이란 뜻의 말입니다. 소나무는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과 아주 가까이 지내와서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소나무와 함께 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태어나면 금줄에 솔가지를 매달아 나쁜 기운을 막고, 소나무로 지은 집에서 살며 솔가지로 불을 지펴 밥을 해 먹고, 나무껍질에서 꽃가루까지 많은 먹거리를 먹고 살다가 죽어서는 소나무관에서 생을 마감하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유용한 쓰임새와 운치 있는 모습으로 소나무는 늘 우리나라 사람들이 최고로 꼽는 나무지요

소나무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비슷하게 생겨서 구분하기 힘들기도 하지만 그 비밀을 알게 되면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소나무 (적송)

  부드러운 바늘잎이 2개고 줄기는 위로 갈수록 붉은색을 띕니다.

리기다 소나무

  바늘잎이 3개고 나무 기중에서도 잎이 잘 나옵니다.

곰솔

  바늘잎이 2개이면서 억세고, 줄기는 검거나 회갈색입니다.

잣나무

  바늘잎이 5개고 흙갈색 줄기에 잎 뒷면이 흰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