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용화전(龍華殿).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본문
용화전(龍華殿).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경남(慶南)
용화전(龍華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204호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용화전은 미륵불(彌勒佛)을 봉안한 건물로 미륵불이 출현할 곳이 용화세계(龍華世界)의 용화수(龍華樹)아래라는 데서 이 명칭이 유래하였다. 또 미륵불을 모시기 때문에 미륵전이라고도 부른다.
미륵불은 석가모니가 열반(涅槃)한 후 56억 7천만 뒤에 이 땅에 출현하여 석가모니가 미처 구제하기 못한 중생을 구제할 부처이다. 이런 연유로 우리나라에서는 미륵불이 희망의 부처로 삼국시대부터 폭넓게 신앙되었다.
이 용화전은 1369년(고려 공민왕 18)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의 건물은 1725년 (영조 원년)에 청성대사(淸性大師)에 의해 중건된 것이다.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으로, 정면의 중앙 기둥 간격이 넓어 직사각형의 평면 구조을 띠고 있다. 일반적으로 법당은 측면의 앞쪽 가장자리에 출입문을 두지만, 이 용화전은 특이하게 건물 측면 중앙 칸에 문이 있다. 외부 장식은 정교하거나 화려한 편은 아니지만, 중앙 기둥머리에 용머리를 연출하는 방식으로 장식적인 요소를 갖추었다. 내부에는 용머리와 연꽃, 봉황의 머리 등을 조각하여 이상 세계의 하늘을 연출하였다. 아마도 이것은 미래에 미륵불이 다스리는 용과 봉황이 날아다니고 연꽃이 만발한 풍요롭고 안락한 둉화 세계를 상징한 듯하다.
- 안내문에서 -
'나라안 나들이 >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형.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
삼십칠 조도품탑.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대광명전(大光明殿).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해장보각.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장경각.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