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대광명전(大光明殿).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본문
대광명전(大光明殿).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경남(慶南)
대광명전(大光明殿) - 조선(1758년), 경남 유형문화재 제94호
대광명전은 중로전(中爐殿)의 중심건물이다. 대웅전(大雄殿) 서북쪽에 위치(位置)하며 건물의 규모나 목재 또는 가구수법(架構手法)이 대웅전 다음가는 우수한 건물이라 하겠다. 대광명전 앞에는 전향각(篆香閣), 장경각(藏經閣), 개산조당(開山祖堂), 세존비각(世尊碑閣) 등이 있고 이들 건물 앞에 5층석탑이 있다.
통도사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인 <대광명전삼성공필후현판(大光明殿三成功畢後懸板)>에 따르면, 1756년 10월 화재로 전소 된 것을 1758년 9월 중건하였다고 한다. 내부에는 대광명전 불상 뒤편에 조성된 삼신불탱은 현재 원본은 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나, 조선후기 통도사를 기점으로 활동하였던 임한비구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현존하는 삼신탱화 중에서 그 화격이 최고로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광명전(大光明殿) 사전(寺傳)에 의하면 1725년 영조 원년에 축환대사(竺環大師)가 중수하였다고 하나 실제 건립연대가 언제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 건물은 정면 5칸 특면 3칸의 다포식(多包式) 팔작(八作)집으로 내부에는 뒤쪽에 고주(高柱)가 세워져 있으며 ??화엄경??의 주불인 비로자나(vairocana)부처를 모시고 있다. 비로자나는 광명의 빛을 두루 비춘다는 광명편조(光明遍照)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즉 법계의 진리와 일치하는 부처이며, 우주의 본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다. 비로자나불을 안치하고 있다. 비로자나(vairocana)는 광명변조(光明變造)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 불전을 대광명전이라 했다. 법계의 진리와 일치하는 이불(理佛)로서 우주의 본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다. 비로자나불상의 뒤편에는 삼신후불탱화 3폭이 있었으나 좌우의 탱화는 박물관으로 이전되었고 중앙의 법신탱만 걸려 있다. 탱화는 화기(畵記)에 의하면 “건융이십기묘 칠월일 양산북취서산 통도사 대광명전법신탱(乾隆二十己卯 七月日 梁山鷲栖山 通度寺 大光明殿法身幀).....”이라 하였으므로 그 조성이 영조(英祖) 35(1759)임을 알 수 있다. 흔히 비로자나불을 모셨을 때 비로전(毘盧殿)이라 편액하기도 한다.
건물은 비교적 견실(堅實)하며 조선 중기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막돌을 바른 층쌓기 하고 상부에 장대석으로 갑석(甲石)을 만든 기단(基壇)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약한 내흘림이 있는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윗몸은 창방(昌枋)으로 결구(結構)하고 이 위에 기둥사이에도 놓은 다포식(多包式)을 이루고 있다. 다포식 공포의 짜임은 외삼출목(外三出目), 내사출목(內四出目)으로 제공(諸貢)위에 놓이는 살미첨자의 끝은 강직한 앙서로 되어 있고, 내부에서는 판형(板形)으로 연꽃봉오리를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정면(正面) 어간(御間) 양측의 기둥머리에 용머리(龍頭)를 조각하여 꽂아놓은 것은 내공포(內公包)의 판형(板形)이나, 연꽃봉오리 조각의 장식성 등이 조선 중기 이후의 감각을 잘 보여주고 있는 수법이다. 가구(架構)는 후면 내진(內陣)에 세운 고주(高柱)와 전면 평주(平柱)에 대들보[大樑]를 걸고 이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宗梁]를 걸었으며 우물 천정을 가설하여 천정 속을 가리고 있다. 정면의 각 주간(柱間)에는 아름다운 빗살창호를 달고 측면에는 정자살창호를 두 짝 달았다.
대광명전 내부에는 외부와 달리 단청(丹靑)과 벽화가 잘 보존되어 산수화풍(山水畵風)으로 전개된 그림을 위시하여 건물의 불벽(佛壁)사이에도 승상(僧像)과 동자상(童子像) 등 인물상을 등장시켜 불경과 관계되는 도화적(道話的)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내고 있다. 법당 내부의 굴도리 상부도서(上部東西) 2개소에는 다음과 같은 묵화가 있어 주목된다.
吾家有一客(오가유일객) 定是海中人(정시해중인)
口呑天藏水(구타천장수) 能殺火精神(능살화정신)
이는 건물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방화부적(防火符籍)으로 생각된다. 법당 내외에 조각된 목조비룡(木造飛龍)의 모습이 사실적인데 이는 조선시대에 발달된 목조공예의 수법을 여실히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라 할 것이다.
'나라안 나들이 >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십칠 조도품탑.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
용화전(龍華殿).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해장보각.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장경각.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
세존비각. 통도사(通度寺). 양산시(梁山市) (0) | 201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