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임류각(臨流閣). 공산성(公山城). 공주시(公州市) 본문
임류각(臨流閣). 공산성(公山城). 공주시(公州市). 충남(忠南)
임류각 (臨流閣)
백제 제24대 동성왕 22년 (500)에 왕궁 동쪽에 지은 건물이다. 높이가 15m 에 이르는 고층으로 왕과 신하들의 연회장소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 공산성 발굴 조사 과정에서 임류각 터를 발견하고, 1993년에 문헌 기록 및 발굴 조사결과를 근거로 2층 누각으로 복원하였다. 현재 임류각의 단청 문양은 무령왕릉에서 나온 장신구 및 무덤방(墓室)의 벽돌에 남겨진 무늬를 많이 활용하였다.
- 안내문에서 -
느티나무
예로부터 영목(靈木)으로 때로는 귀목(貴木)으로 때로는 신목(神木)으로 때와 장소에 따라 섬김이 달라졌으나 우리나라 명목(名木)으로는 으뜸에 속한다.
느티나무란 말은 정약용의 책에 괴판(槐板)은 괴목(龜木)이라 한다고 하여 괴목 즉 느티나무라 불려지고 있었으며 또한 같은 책에 늣회나무란 말이 있는데 이는 늣회가 변하여 느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늣은 늣기다의 옛말의 줄임말로 둥그스름한 느티나무의 바깥 모양새가 회회나무(괴화)와 같은 느낌이 오는 나무란 뜻이 된다.
산림청은 새 천년을 맞아 밀레니엄나무로 느티나무를 선정하였다. 느티나무는 역사성과 문화성을 함께 지니고 있으며, 새 천년동안 강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수(長壽) 나무이기 때문이다.
- 안내문에서 -
'나라안 나들이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국삼장비(明國三將碑). 공산성(公山城). 공주시(公州市) (0) | 2013.05.15 |
---|---|
장대지(將臺址). 공산성(公山城). 공주시(公州市) (0) | 2013.05.15 |
영은사(靈隱寺). 공산성(公山城). 공주시(公州市) (0) | 2013.05.15 |
연지(蓮池) 및 만하루(挽河樓). 공산성(公山城). 공주시(公州市) (0) | 2013.05.15 |
공주잠종냉장고(公州蠶種冷藏庫). 공산성(公山城). 공주시(公州市) (0) | 201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