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고인돌의 형태와 구조.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본문
고인돌의 형태와 구조.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전북
탁자식 Table type
잘 다듬어진 판돌 4장을 세워 땅위에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구조이다. 한강 이북에 주로 분포하여 북방식이라고도 불렀으나 전남 지방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고창에서는 도산리 고인돌이 대표적으로 2장의 굄돌과 얇은 덮개돌이 남아 있다.
바둑판식 (기반식) Go-board type
바둑판 모양과 같은 구조이다. 판돌이나 깬돌로 지하에 무덤방을 만들고 주위에 여러개의 굄돌을 놓아 덮개돌을 얹은 것이다. 고창에는 무덤방이 있는 것도 있으나 주로 무덤방 없이 돌만 깔아 놓거나, 굄돌을 기둥처럼 높게 사용한 예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개석식 Capstone type
땅속에 판돌이나 깬돌 등으로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바로 덮개돌을 올려놓은 구조이다. 굄돌이 없어서 무지석식이나 뚜껑식, 대석개묘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창 고인돌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전역과 중국 동북 지방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상 석곽식 Above ground stone-lined Burial chamber type
탁자식 고인돌의 일종으로 판돌 여러 장을 이용해서 무덤방을 만들었다. 주로 고창 지역에서 나타나 고창식 고인돌이라고도 부른다. 지상석곽식에는 바둑판식 고인돌에서 나타나는 기둥 모양의 굄돌을 함께 고인 형태도 있다.
죽림리. 상갑리 고인돌 유적은
세계 최대 규모로 밀집 되어 있는 유적이다.
탁자식. 바둑판식. 개석식. 지상석곽식 등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 안내문에서 -
'나라안 나들이 > 전라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
다양한 장묘문화.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도구 사용방법.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고인돌 출토유물 (장신구 및 생활용품류).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청동기 시대의 특징.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