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보탑사 (寶塔寺) 안내도. 진천군(鎭川郡) 본문

나라안 나들이/충청북도

보탑사 (寶塔寺) 안내도. 진천군(鎭川郡)

세계속으로 2013. 11. 30. 14:55

보탑사 안내도 (寶塔寺). 진천군(鎭川郡). 충북(忠北)

 

 

 1. 목탑                                                    2. 산신각

 3. 삼소실                                                 4. 지장전

 5. 해행당                                                 6. 석비

 7. 반가사유상                                           8. 적조전

 9. 영산전                                                10. 미소실

11. 범종각                                               12. 법고각

13. 수련원                                               14. 공양간

15. 천왕문                                               16. 화장실

17. 주차장

 

보련산 보탑사 (寶蓮山 寶塔寺)

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蓮谷)는 도덕봉, 약수봉, 옥녀봉 등 아홉 개의 봉우리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어 마치 한 송이 연꽃이 피어난 모습처럼 아름다워 예로부터 연곡리라 하였다.

연곡리 절터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큰 절터로만 전해 왔는데, 그 중심에 보탑사가 삼국시대 목탑 건축의 전통을 잇는3층 목탑을 세움으로써 새롭게 되살아 났다. 보탑사 경내에는 보물 제 404호인 고려시대의 진천 연곡리 석비가 있으며, 주변에 삼국통일의 주역인 김유신 장군의 생가가 있어 역사적인 명당지였음을 알 수 있다.

높이 42.73m 에 이르는 웅장한 3층 목탑은 연꽃의 꽃술을 상징하고 있으며, 한반도 통일을 기워하는 통일대탑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 목탑과는 달리 걸어서 법당 내부을 오르내릴 수 있는 국내 유일의 목탑이다.

 

 1층 금당(金堂)은 심주(心柱)를 중심으로 약사여래 (동), 아미타불 (서), 석가여래 (남), 비로자나불 (북) 등 사방불을 모셨으며, 심주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셨다. 그 둘레에는 999개의 간절한 발원이 담긴 백자 (白磁) 원탑(塔)이 모셔져 있다.

 

 2층 법보전(法寶殿)은 윤장대를 중심으로 네 방향에 법화경을 모셨다.

 

 3층 미륵전(彌勒殿)은 석가세존께서 열반에 드신 후 새로운 정법 (正法) 시대를 여실 미래불인 미륵삼존불을 모신 법당이다.

 

보탑사(寶塔寺)는 보탑사 창건주 지광(光) 스님과 삼선포교원(三仙布敎院) 주지 묘순(妙洵) 스님, 보탑사 주지 능현(能現) 스님의 발원으로 1988년 절터를 마련하고, 1996년 3층 목탑을 창건하였다.

그후에 지장전, 산신각, 해행당, 8각의 영산전, 적조전, 수련원, 7각의 범종각, 9각의 법고각, 미소실, 삼소실, 반가사유상, 천왕문 등 대가람의 면모를 갖추었다.

- 안내문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