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숙모전. 동계사. 삼은각. 동학사(東鶴寺). 공주시(公州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충청남도

숙모전. 동계사. 삼은각. 동학사(東鶴寺). 공주시(公州市)

세계속으로 2013. 4. 17. 16:54

숙모전. 동계사. 삼은각. 동학사(東鶴寺). 공주시(公州市). 충남(忠南)

 

 

숙모전.동계사. 삼은각

계룡산초혼각지 : 충청남도 기념물 제 18호

 

이곳 국립공원 계룡산록에 위치한 삼 전사는 우리 민족사에 빛나는 충의절신을 모신 곳으로 신라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살신성인의 높은 정신을 기리는 전당이다.

◆ 숙모전은 세조에 의해 왕위를 빼앗긴 단종을 모신 전이요, 동. 서무에는 당시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참형을 당한 사육신과 삼상, 종실의 대군, 그외의 순절한 원혼을, 그리고 생육신등 충의절사를 모신 곳이다. 세조 2년(1456)에 김시습이 단을 모아 사육신을 초혼제사하였더니 1457년, 세조가 이곳에 들렸다가 초혼단을 보고 감동하여 억울하게 죽어간 명단을 팔폭 비단에 적어 유. 불이 공사토록 사패하였다. 광무 8년 (1904)에 숙모전이라 명명하다.

 

◆ 동계사는 신라 제 19대 눌지왕 때에 인질로 일본에 잡혀간 왕의 아우 미사흔을 구출하고 왜지에서 흑형으로 산화한 관설당 박제상의 항일 충혼을 모신 곳으로 고려 태조 19년 (939)에 개국 공신 류차달이 공의 만고충절을 기려 이곳에 초혼 제사하고 왕명으로 동계사를 건립하였다. 1956년에 중건하고 류차달을 추향하다.

 

◆ 삼은각은 고려말의 명현이신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 삼은의 위패를 모신곳으로 태조 3년 (1394)에 정몽주의 초혼단을 비롯하여 1400년 공주 목사 이정간이 단지에 각을 세웠고 그 후에 금헌 류방택, 도은 이숭인, 죽헌 라계종을 추향하였다.

위에 모신 백삼위의 충혼 의백은 한민족의 우국이념을 면면히 이어온 상징적 존재이다.

역대 충청도 관찰사가 관장하여 왔고 1963년에 사단법인 숙모회를 설립하여 춘.동.양절에 대제를 드리며 그 숭고한 사생취의의 정신을 추모하고, 1992년 숙모재(강의실)를 세우고 충절의 위적을 강의 선양한다.

 

1993. 6. 10

사단법인 숙 모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