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보광루(普光樓). 구룡사(龜龍寺). 원주시(原州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강원도

보광루(普光樓). 구룡사(龜龍寺). 원주시(原州市)

세계속으로 2015. 10. 25. 15:52

보광루(普光樓). 구룡사(龜龍寺). 원주시(原州市). 강원도(江原道)

 

원주 구룡사 보광루(原州 龜龍寺 普光樓)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145호

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1029

 

구룡사는 치악산 능선 밑의 급경사지에 동향(東向)의 배치를 하고 있으며, 조선중기 이후 산지에 건립된 사찰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구룡사의 출입은 사천왕문(四天王門)을 통과하여 보광루 아래부분의 트여 있는 가운데 칸을 통로로 삼아 대웅전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누하진입방식(樓下進入方式)인데, 이러한 방식은 경사진 지형에 조성된 사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보광루는 구룡사의 가람배치에서 불이문(不二門)의 성격을 가진 건물로 공간의 위계(位階)를 구분함과 동시에 누각 아래를 통한 진입으로 전이공간(轉移空間) 역할을 한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익공집으로 홑처마 맞배지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으로 초석을 놓고 그 위에 배흘림이 있는 튼실한 원형기둥을 세워 아래층을 구성하고 있다. 출입통로로 사용되는 가운데 1칸을 제외한 나머니 옆칸은 판벽으로 막아 창고 공간으로 쓰고 있는데, 창고 안쪽으로도 기둥을 세워 놓았으며, 각 칸마다 두 줄씩 가로. 세로로 보를 놓았다.

누각층은 대웅전 앞의 마당공간을 향해 벽체가 없어 개방 시켰으나 나머지 3면은 판벽으로 처리하였고, 정면의 각 칸 사이에는 2짝 판문을 달았다. 기둥은 1층보다 빈약하고 배흘림이 없는 원형기둥을 사용하였고, 이익공 형식으로 연꽃과 연꽃 봉우리를 장식하였으며, 기둥머리에는 봉황머리를 장식하였다.

누마루는 우물마루이며, 천장은 우물반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