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비각(碑閣). 융릉(隆陵). 화성시(華城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기도

비각(碑閣). 융릉(隆陵). 화성시(華城市)

세계속으로 2016. 2. 27. 15:52

비각(碑閣). 융릉(隆陵). 화성시(華城市). 경기도(京畿道)

 

비각(碑閣)

 비석이나 능 주인의 업적을 기록한 신도비를 세워둔 곳


 

융릉 비문 해설내용

■ 현륭원비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

● 건립연대 : 조선 정조 13년 (1789)

● 찬자 : 정조 찬(撰)

● 규모 : 비 높이 210cm, 폭 95cm, 두께 46cm

▶ 표석에는 조선국 사도장헌세자현륭원이라고 세로로 전서를 쓰로 해서로 쓴 음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역 문

조선국

사도장헌세자 현륭원

 

사도 수덕돈경 홍인경지 장헌세자는 숭정 기원후 108년 (영조 11, 1735) 을묘년 정월 21일에 탄강하시었다. 병진년 (영조 12, 1736)에 원자(元子, 世子)로 책봉되고, 기사년 (영조 25, 1749)에 왕세자에 책봉되시어 대리청정(代理廳政)의 명을 받았으며, 임오년 (영조 38, 1762) 윤 5월 21일에 훙서(薨逝)하시니 수한이 28세이셨다. 시호를 사도()라 내리시고, 7월 23일 양주 남쪽 중량포(中梁浦)의 배봉산 갑좌(甲坐)의 언덕에 장사지냈다.

소자(아들 正祖를 가리킴)가 즉위하던 병신년(1776)에 시호를 장헌(莊獻)으로 추상(追上)하고 원호(圓號)를 영우로 올렸다. 계묘년(정조 7, 1783)에 존호를 수덕돈경이라 추상(追上)하였고, 이듬해인 갑진년(1784)에는 존호를 송인경지라 가상(加上)해 올렸다. 기유년(정조 13, 1789) 10월 초 7일에 수원의 화산(花山) 계좌(癸坐)의 언덕으로 천봉하고 원호(圓號)를 현륭(顯隆)으로 고쳤다.

 

 

역  문

대한

장조 의황제 융릉

헌경 의황후 부좌

장조 사도 수덕돈경 홍인경지 장륜융범기명창휴 찬원헌성계상현희 신문환무장헌 광효 의황제 묘도(墓道)의 돌(비석)은 정조 선황제께서 친히 지으신 것이다. 을묘년(정도 19, 1795)에 존호를 추상(追上)하여 장륜융범기명창휴라 올렸으며, 철종(哲宗) 을묘년(철종 6, 1855)에는 존호를 추상하여 찬원헌성계상현희라 더하여 올렸다. 광무 3년(1899) 기해년 10월에는 왕으로 올려 추존(追尊)하여 시호를 신문환무장헌광효로 올렸으며, 묘호(廟號)를 장종(莊宗)에 봉하였다. 능호는 융릉(隆陵)으로 그 해 11월에 추존했는데, 시호는 가로되 의황제(懿皇帝)이고 묘호는 장조(莊祖)이시다.

황후는 효강자희정선히목유정 인철계성 헌경의황후 홍씨로 개국 344년, 을묘년(영조 11, 1765) 6월 18일 탄생하시어 갑자년(영조 20, 1744)에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며, 임오년(영조 38, 1762) 혜빈의 호를 받았으며 정조 즉위년(1776)에 궁호가 혜경으로 올랐고, 순조 을해년(순조 15, 1815) 12월 15일 81세를 일기로 승하하여, 이듬해(병자년) 3월 3일 현륭원 좌측에 봉릉되었다. 을묘년(철종 6, 1855)에 존호를 유정이라 하고, 광무 3년(1899, 기해년) 10월 황후로 추존하면서 휘호를 인철계성이라 올렸으며 시호를 헌경이라 하여싸가 그해 11월 시호를 의황후로 추존하였다.

이제 또 비석을 세우니 공경하여 앞면에 추가로 휘음(徽音)을 적어 넣는다.

광무 4년(1900)  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