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정자각(丁字閣). 융릉(隆陵). 화성시(華城市) 본문
정자각(丁字閣). 융릉(隆陵). 화성시(華城市). 경기도(京畿道)
정자각(丁字閣)
제사를 모시는 건물로 제향 공간의 중심적 건축물임.
정청과 배위청으로 나누어지며, 두 개가 합쳐진 모양이 '정(丁)'자 같다 하여 정자각이라 함. 단청이 되어 있음.
제수진설도(祭需陳設圖)
융릉(隆陵) 제향일정
제향일 : 매년 4월 둘째 토요일
융릉은 사도세자(思悼世子)와 그의 비(妃) 헌경왕후(獻敬王后) 홍씨(洪氏, 1735~1815)의 능이다.
제기류 (祭器類)
● 작(爵), 작점(爵坫) - 술잔과 받침대
● 수라기(水刺器) - 임금께 올리는 진지를 담은 제기
● 시접(匙楪) - 수저를 놓는 제기
● 면기(麵器) - 국수를 담는 제기
● 탕기(湯器) - 국을 담는 제기
● 적기(炙器) - 떡 등을 올려놓는 제기
● 접자(楪子) - 과일, 나물 등의 제수를 담는 제기
● 산자우리(散子于里) - 산자를 올려놓는 제기
기신제(忌晨祭)
취위(就位) : 제를 모시기 위해 자리에 선다
신관례(晨祼禮) : 신을 맞이하는 예
초헌례(初獻禮) : 신에게 첫잔을 올리는 예
아헌례(亞獻禮) : 두번째 잔을 올리는 예
종헌례(終獻禮) : 세번째 잔을 올리는 예
망료례(望燎禮) : 제례에 쓰인 축문과 폐를 태우는 예
망료상(望燎床) : 축폐를 태워 올릴 때 사용하는 망료기와 망료저를 올려 놓는 상
향상(香床) : 향로, 향합을 올려 놓는 상
제상(祭床) : 제수를 차려 놓은 상
관세상(盥洗床) : 관세를 담던 세뢰와 관수를 받아 씻는 그릇인 세를 올려 놓는 상
준상(尊床) :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각(碑閣). 융릉(隆陵). 화성시(華城市) (0) | 2016.02.27 |
---|---|
융릉(隆陵). 화성시(華城市) (0) | 2016.02.27 |
융릉(隆陵) 파노라마. 화성시(華城市) (0) | 2016.02.27 |
융릉(隆陵) 상설도. 화성시(華城市) (0) | 2016.02.27 |
건릉에서 융릉가는길. 융건릉(隆健陵). 화성시(華城市) (0) | 2016.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