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새이야기길.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기도

새이야기길.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세계속으로 2016. 10. 20. 17:22

새이야기길.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경기도(京畿道)

 

우리 숲속에 서식하고 관찰되는 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청둥오리 

직박구리 

멧새 

큰딱다구리 

어치 

박새 

원앙 

노랑턱멧새 

쇠박새 

멧비둘기 

물까치 

흰빰검둥오리 

오목눈이 

딱새 

꾀꼬리 

검은등뻐구기 

청딱다구리 

동고비 

두견이 

오색딱다구리 

진박새 

뻐꾸기 

파랑새 

곤줄박이 

황조롱이 

꿩 

굴뚝새 

 

 

 

 새부리와 먹이 관계

굵은 부리를 가진 새

반콩새, 멋쟁이새, 큰부리밀화부리 등은 두툼하고 단단해 보이는 부리를 가지고 있어 곡식의 껍질이나 딱딱한 나무열매 (소나무, 옻나무, 전나무 등)를 까는 데에 편리해요

콩새

 

멋쟁이새

긴 부리를 가진 새

오색딱다구리, 휘파람새, 쏙독새 등은 나무껍질 속에 숨어 사는 벌레를 먹기 위해 부리가 길어야 좋아요

큰오색딱다구리

 

휘파람새

 

날카롭게 구부러진 부리를 가진 새

주로 동물의 살을 먹이로 하기 때문에 뜯어 먹기에 편리하도록 끝이 구부러지고 날카롭지요.

때까치는 개구리나 곤충을 먹고 독수리와 매는 쥐나 뱀을 잡아 먹어요.

때까치

 

독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