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독산성(禿山城) 파노라마. 오산시(烏山市) 본문
독산성(禿山城) 파노라마. 오산시(烏山市). 경기도(京畿道)
사적 제140호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는 1,095m의 테뫼식 산성과 산 정상부에 복원되어 있는 권율 장군의 승전과 관련된 장대(將臺)1)를 말한다.
독산성은 독성산성이라고도 불리는데, 오산과 수원, 화성에 걸쳐 펼쳐진 평야 한가운데 우뚝 솟아 주변을 두루 살필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독산성은 백제 시대에 처음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의 승전으로 군사적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여주 파사성, 용진 토성 등과 함께 도성을 방어하는데 중요한 근거지가 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임진왜란 중인 선조 27년(1594)에 경기도 관찰사 유근이 백성들과 함께 4일 만에 고쳐 지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선조 35년(1602)에 방어사 변응성이 석성으로 다시 지었다. 정조 16년(1792)에는 약 70일간 새로 짓는 것과 비슷하게 큰 규모로 공사를 했고, 정조 20년(1796) 수원 화성이 완공된 이후 협수 체제(協守 體制)2)를 구축하였다.
산꼭대기에는 세마대가 복원되어 있으며, 동문 안에 보적사가 있다.
내부 시설물로 성문 5개, 치(雉)3) 8개, 우물 1개, 수로 1개가 남아 있다.
1) 장대 : 장수의 지휘대
2) 협수 체제 : 서로 협력하여 지키는 구조
3) 치 :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쌓은 시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마대(洗馬臺). 독산성(禿山城). 오산시(烏山市) (0) | 2018.05.10 |
---|---|
찔레꽃. 독산성(禿山城). 오산시(烏山市) (0) | 2018.05.10 |
보적사(寶積寺)에서 남문으로. 독산성(禿山城). 오산시(烏山市) (0) | 2018.05.10 |
삼성각(三聖閣). 보적사(寶積寺). 오산시(烏山市) (0) | 2018.05.10 |
대웅전(大雄殿). 보적사(寶積寺). 오산시(烏山市) (0) | 2018.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