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범종의 제작기술. 제2 전시실. 종박물관. 진천군(鎭川郡) 본문
범종의 제작기술. 제2 전시실. 종박물관.
진천군(鎭川郡). 충북(忠淸北道 )
사형 주물법 (Sand Casting). 沙型鑄物法
지문판(地文板)을 사용하여 외형에 문양을 찍어 새기는 방법으로 철제범종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하였다. 주조 순서는 우선 지문판을 제작한 뒤 외형틀과 회전판을 제작하고 주물사()를 다져 넣은 다음 회전판을 돌려 범종의 내. 외형을 완성하고 다시 외형틀에 문양을 찍은 후 주물하는 방법이다. 종의 표면이 곱지 못하고 투박한 단점이 있다. 일본에서 현재까지도 계속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밀랍주물법 (Wax Casting). 蜜蠟鑄物法
밀랍(벌집)과 소기름을 적당히 배합하여 만든 밀초를 사용하여 만드는 방법이다. 제작하고자 하는 범종 모양과 동일한 밀랍 모형을 만든 후 열에 강한 분말 상태의 주물사를 반죽하여 표면에 수차례 바른다. 일정한 두께를 준 뒤 이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은근히 열을 가해 내부의 밀랍 모형을 제거하고, 쇳물을 부어 범종을 제작한다. 작업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제작기간이 소요된다. 실패 가능성도 높으나 성공했을 경우 다른 주조 방법과는 비교할 수 없는 섬세한 문양과 깨끗한 표면, 그리고 아름다운 소리를 얻을 수 있다.
문양(文樣)에 담긴 불교정신(佛敎精神)
The Buddhist Spirit Embedded in the Decorative Patterns
범종에 은은한 소리는 불교의 이상을 멀리까지 울려 세상을 교화하였으며, 장엄한 문양은 중생들로 하여금 불교의 세계에 젖어들게 하였다.
범종 문양에 담겨 있는 불교의 심오한 정신 !
범종의 문양을 살펴보면 문양에 담겨 있는 깊은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범종의 구조
용뉴 龍鈕 Yongnyu
기록에 의하면 고래를 무서워한다는 상상의 바다짐승인 포뢰(蒲牢)를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
음통 音筒 Eumtong
우리나라 범종에서만 볼 수 있는 둥근 대롱의 형태로 3-4개로 나누어진 마디마다 위. 아래로 솟은 연판이 장식되어 있다.
연곽과 연뢰 蓮廓과 蓮蕾 Yeongwak & Yeolloi
4개의 연곽과 36개의 연뢰는 모든 중생과 중생계를 나타내는 사생구계(四生九界)를 의미한다.
상대와 하대 上帶와 下帶 Upper & Lower Bands
몸체의 상부와 아래쪽 하부의 문양 띠로 당초무늬나, 연꽃무늬, 보상화 무늬 등의 문양이 장식되었다
종신부조상 鍾身浮彫像 Buddha Relief on Buddhist Bell
종 몸체의 여백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천인상, 비천상, 불. 보살좌상, 보살입상 등이 장식되었다.
범종 설계과정 (梵鐘 設計過程)
The Process of Designing a Buddhist Bell
범종을 만들기 위하여 범종 제작을 의뢰한 사람의 요구, 범종의 역할, 크기, 형상, 문양을 구상하고, 구체적인 치수와 문양에 대한 도면을 작성하는 것을 범종 설계라고 한다. 범종을 설계할 때는 범종의 두께 변화에 따른 음향 설계와 각 부위의 문양에 대한 문양설계도 함께 한다. 또한 제작에 관한 주행. 금속용해법과 기타 필요한 사항 등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범종이 설계되면 범종 중량- 구경치수 - 범종 높이 - 음통 높이 - 두께 - 상대 - 하대 - 연곽 - 당좌 - 종신부조상 - 용두 크기와 형상 그리고 문양이 확정되어 주조에 들어간다.
범종을 만드는 재료
The Materials Used to Make a Buddhist Bell
범종을 만드는 재료는 청동으로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사용하였다, 물론 중국 종의 경우 청동과 함께 철제 범종도 많이 만들어졌지만, 우리나라는 청동으로 만들어진 범종이 가장 널리 제작되었다. 종의 제작과 관련된 기록으로는 중국 것이지만 <천공개물(天工開物)>이라는 책에서 송나라 범종의 제작 기술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 책에는 당시 범종의 주조에 관한 그림과 설명이 구체적으로 도해되어 있는데, '종을 주조할 때 상등(上等)은 청동(靑銅)으로 만들고 하등(下等)은 주철(鑄鐵)을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는 사실로 보아 청동 종을 상급으로 취급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안내문에서 -
1. 밀랍 녹이기 Melting Wax
가마솥에 밀랍과 소기름을 적당히 배합하여 열을 가해 녹인다.
2. 문양 조각하기 Carving Patterns
상대, 하대, 연곽, 당좌 등의 문양을 정교하게 조각한 뒤 밀랍으로 문양을 찍어 낸다.
3. 밀랍 원형 만들기 Molding a Wax Buddhist Bell
종 모양의 밀랍 외형 위에 문양을 뜬 조각을 붙여 밀랍 원형을 만든다.
4. 외형 바르기 Applying Clay to the Surface
밀랍 원형 위에 주물사 (이암과 모래 등)를 여러 겹 바르고 응달에서 자연 건조시켜 외형을 완성시킨다.
5. 밀랍 녹이기 Removing Wax by Melting
건조된 외형에 열을 가하여 내부에 있는 밀랍을 녹여 외형을 완성한다.
6. 내형 만들기 Making the Inner Mold
회전판에 진흙과 볏짚을 섞어 만든 벽돌을 쌓고 흙을 발라 내형을 완성한다.
7. 범종 고정하기 Building a Buddhist Bell Mold
밀랍이 완전히 제거된 외형과 내형을 맞춰 범종을 고정시킨다.
8. 쇳물 붓기 Pouring Molten Iron
내. 외형의 조립이 끝나면 거푸집을 씌우고 땅 속에 묻은 후 구리와 주석을 합금하여 녹인 쇳물을 붓는다.
'나라안 나들이 > 충청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있는 종.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0) | 2013.05.01 |
---|---|
범종의 소리. 제 2전시실.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0) | 2013.05.01 |
상원사 종. 제 1전시실.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0) | 2013.05.01 |
세계의 종.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0) | 2013.05.01 |
편종(編鐘).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0) | 201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