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범종의 소리. 제 2전시실.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본문

나라안 나들이/충청북도

범종의 소리. 제 2전시실.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세계속으로 2013. 5. 1. 16:19

범종의 소리. 제 2전시실. 종 박물관. 진천군(鎭川郡). 충북(忠北)

 

구조에 따른 소리의 차이

1. 잡음을 제거하는 음통

 

音筒 Eumtong that Removes Noises

 

둥근 대롱형태의 음통(音筒)은 우리나라 범종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특징으로, 대부분 내부가 비어 있고 아래쪽이 종신 내부에 관통되도록 구멍이 뚫려있다. 음통은 종을 칠 때 격렬한 진동을 신속히 걸러 내어 충격을 신속히 제거하고 소리의 일부를 공중으로 보내는 역학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음통이 없다면 가격음(加擊音)의 상태가 길어지고 그 만큼 충격을 오래오래 끌게 되어 종에 무리를 가하게 되는 것이다.

- 안내문에서 -

 

성덕대왕신종 내부 음통 관통 구멍

 

2. 땅바닥에 설치한 움통

鳴洞  Resonator on the Ground

 

우리나라의 범종은 종각() 등에 높게 걸지 않고 지상에서 낮게 띄워 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종구 아래쪽에는 땅을 움푹 파거나 이곳에 큰 독을 묻은 경우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종구 쪽으로 빠져나온 공명이 메아리 현상으로 다시 종신 안으로 반사되어 여운이 길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위에서 내려온 진동을 반사함으로써 새로운 진동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 안내문에서 -

보광사종 움통

 

3. 종을 치는 자리. 당좌

撞座 Dangjwa, The Strike Point

 

당목과 직접 닿는 부분인 당좌는 종신의 하대 위에 별도로 마련되어 도드라지제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종구에 가까운 종 하부를 타종하였을 떄 종소리가 가장 크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소리가 작아지는데, 당좌가 종구의 밑에서 가장 불룩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배려하여 이 부분을 가격할 때 가장 좋은 소리가 난다.

- 안내문에서 -

상원사종 당좌

 

종의 소리

共鳴 Bell Sound

 

범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리이다. 범종에서 좋은 소리란 첫째, 맑은 소리이다. 즉 잡음이 없고 귀에서 아름다운 소리로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종의 여운(餘韻)이 길어야 하고, 셋째 뚜렷한 맥놀이가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세 요소는 종에 사용한 합금, 쇳물의 냉각 속도, 종의 형상, 두께 분포, 문양 배치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구리와 주석의 함량이 중요한데, 주석 함량이 12-18% 정도일때 소리가 가장 좋다. 주석량이 10% 이하가 되면 재질이 연()하여 종소리가 나쁘거나 잘 나지 않으며, 주석량이 너무 많으면 경도는 크나 쉽게 깨지고 수명이 짧아진다.

- 안내문에서 -

 

비대칭 구조가 만드는 맥놀이

脈動  Beat Phenomona Caused by Asymmetrical Structure

 

 

한국 범종의 특색은 맑고 청아한 음색을 가지며, 긴 여운과 뚜렷한 맥놀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맥놀이란 비슷한 진동수를 가지는 2개의 주파수가 합성되어 서로 간섭하면서 진동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고, 이에 따라 소리 역시 커지고 작아지는 것이 반복되는 현상이다. 종이 완벽한 대칭을 이루면 맥놀이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조각되는 등 종에서 비대칭성이 발생하면서 맥놀이가 일어나는 것이다.

- 안내문에서 -

 

타음, 원음, 여운

打音

打音, 遠音, 餘韻

Hitting, Emitting & Echoing Sounds of Buddhist Bell

 

종소리는 타종하였을 때 3개의 구간음으로 구분된다. 제1구간음은 타종 직후 1초 이내에 소멸되는 소리로 타음(打音)이라고도 한다. 이 소리는 '꽝'하는 순간음으로 많은 부분음이 포함되어 있다. 제2구간음은 타종한 뒤 5-10초 전후까지 계속되고 이것이 먼 곳까지 전달되는 것으로 원음(遠音)이라고 하며, 멀리까지 들리는 종소리가 이 소리이다. 제3구간음은 타종한 뒤 30초-1분이상 계속되면서 점점 감쇠(減衰)되는 종소리로 여운(餘韻)이라고도 한다.

- 안내문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