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고창군 안내.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본문
고창군 안내.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전북(全北)
자연과 역사가 살아 숨쉬는 문화관광도시 고창
아득한 세월의 흔적과 풍요로운 도시의 넉넉함이 있는 고창에는 다양한 관광지와 먹거리, 특산물이 있다.
선사시대의 고인돌에서 근대의 동학농민운동까지 유구한 역사의 흐름을 느낄 수 있고 선운사의 고즈넉한 풍광에서 해수욕장의 뜨거운 열기까지 다양한 분위기의 관광지가 준비되어 있다. 고창관광의 매력에 흠뻑 젖어보자.
유비무환의 슬기와 무병장수의 꿈 고창읍성
고창읍성은 조선 단종 원년 (1453년) 외침을 막기 위하여 전라도민들이 축성한 자연석 성곽이다. 일명 모양성으로 불리며, 나주진관의 입암산성과 연계되어 호남 내륙을 방어하는 전초기지이다. 1965년 사적 제 145호로 지정된 성은 둘레 1,684 m, 높이 4-6 m, 면적 165,858 m2로 동.서.북문과 3개소의 옹성, 6개송의 치를 비롯하여 해자 등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고창읍성에는 국내 유일의 답성놀이 풍습이 지금도 이어지고 잇다. 답성 놀이는 머리에 돌을 이고 성 위를 도는 것으로 한 바퀴 돌면 다릿병이 낫고 두 바퀴 돌면 무병장수하며 세 바퀴 돌면 극락승천한다고 전해진다.
사계절 꽃과 어우러진 호남의 내금감 선운산 도립공원
선운산은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리는 명승지로서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선운은 구름속에서 참선한다는 뜻이고 다른 이름인 도솔은 미륵불이 있는 도솔천궁으로 불도를 닦는 곳이라는 뜻이다. 곳곳에 기암괴석이 봉우리를 이루고 있어 경관이 빼어나고 숲이 울창한 가운데 1,500년 고찰 선운사가 자리하고 있다.
선운사에는 금동보살좌상. 도솔암 마애불 등 19점의 문화재가 있으며 봄에는 춘백, 여름에는 시원한 계곡과 꽃무릇,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설경이 있어 사계절 아름다운 풍경이 있는 곳이다.
보리밭 사잇길로 걸어보자 청보리밭
청보리가 100만 평방미터에 걸쳐서 펼쳐지는 청보리밭은 곳곳에서 향수를 찾는 관광객들이 물밀 듯이 밀려오는 고창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이다. 청보리밭은 9월초에 메밀꽃밭으로 거듭나 9월말까지 이어진다.
이밖에도 경관 농업의 커뮤니케이션 센터인 청보리움, 황토민막, 대표적인 농촌 체험장인 청메골 선산마을, 잔디구장, 식당 등이 갖춰져 있어 드넓은 자연을 벗삼아 한가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매년 4월에는 청보리밭 축제가 개최된다.
천혜의 자연에서 자란 고창의 특산품
고창의 대표적인 특산품으로는 복분자와 풍천장어가 있다. 고창 복분자는 유기농으로 재배되어 품질이 좋고 약효가 뛰어나며 복분자를 이용한 복분자술, 복분자한과 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풍천장어는 선운산 어귀의 인천강 하구에서 잡히는 장어로 유달리 담백하고 구수한 맛이 일품이며 복분자술을 곁들여 먹으면 좋다. 그 외에도 선운사의 명물인 작설차, 황토에서 자라 당도가 높고 맛이 좋은 고창 수박, 고창 땅콩, 해풍 고추 등의 먹거리와 3대째 전통 자수의 맥을 잇는 고창 자수, 천년 전통의 고창 자기 등이 유명하다.
고창, 동학농민혁명의 요람
고창은 전봉준 장군이 태어난 곳이며 동학농민군 중에서 가장 세력이 컸던 손화중포의 도소가 있는 곳이다. 또한 무장현에서는 '무장포고문'을 선언 (1894년 3월 20일) 하기도 했다. 이때 일어난 무장기포는 그 규모와 영향력 면에서 동학농민혁명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곳 출신의 많은 농민군과 지도자가 동학농민혁명을 이끌었다.
동학농민혁명의 유적지로는 전봉준 생가, 무장기포지, 손화중이 비결을 얻었다고 전해지는 도솔암 마애불, 손화중 도소 및 피체지, 동학농민군의 훈련장, 숙영지인 왕제산(여시뫼), 고창읍성과, 무장현 관아와 읍성, 동학농민군 진격로 등이 있다.
'나라안 나들이 > 전라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로모로열차.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고인돌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다양한 장묘문화.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
고인돌의 형태와 구조. 고인돌 박물관. 고창군(高敞郡) (0) | 201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