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세계의 성곽을 보다. 남한산성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본문
세계의 성곽을 보다. 남한산성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경기도(京畿道)
Fortress as a World Heritage
남한산성 세계문화유산 등재 1주년 기념 특별전
<세계의 성곽을 보다>
2015.9.7 ~ 2015.11.30
포르투갈 엘바스 요새도시와 방어시설 (2012)
<Garrison Border Town of Elvas and its Fortifications>
국가 : 포르투갈 (Portugal)
위치 : 프라하
좌표 : N 38˚ 52' 50.23", W 7˚ 9' 47.96"
등재년도 : 2012년
등재기준 : iv
17세기부터 19세기 동안 대규모로 요새화된 이 유적은 세계에서 가장 큰 건식 수로시스템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벽 안에 있는 도시에는 교회와 수도원 외에도 막사와 기타 군용 건축물들이 있다. 엘바스에는 10세기의 유물이 간직되어 있지만, 요새화되기 시작한 것은 포르투갈이 1640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때부터이다. 이 요새 도시는 네덜란드 예수회 신부였던 코스만더르가 설계한 것으로, 오늘날 남아 있는 네덜란드 식 요새 중 가장 훌륭한 사례이다. 이 유적에는 아모레이라 수도교가 있는데 요새가 장기간 포위 공격을 당하더라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건설한 것이다.
스페인 그라나다(알람브라,헤네랄리페,알바이신)(1984)(1994년확장)
<Alhambra, Generalife and Albayzin,Granada>
국가 : 스페인(Spain)
위치 : 안달루시아 자치지방
좌표 : N 37˚ 52' 45.1", W 4˚ 46' 47"
등재년도 : 1984년 (1994년 확장)
등재기준 : iv, v
그라나다(Granada)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알람브라(Alhambra)와 알바이신(Albayzin)은 인접한 2개의 언덕 위에 있으며, 중세 도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알람브라 요새와 거주지 동쪽에는 13세기와 14세기에 이 지역을 통치하던 이슬람 국가의 통치자가 별장으로 이용했던 헤네랄리페(Generalife)의 아름다운 정원들이 남아 있다. 알바이신의 주거 지구에는 안달루시아의 전통 양식과 무어인의 토속 양식의 건축물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스페인 코르도바 역사 지구 (1984)(1994년 확장)
<Historic Centre of Cordoba>
국가 : 스페인(Spain)
위치 : 안달루시아 자치지방
좌표 : N 37˚ 52' 45.1", W 4˚ 46' 47"
등재년도 : 1984년 (1994년 확장)
등재기준 : i, ii, iii, iv
코르도바(Cordoba)는 8세기 무렵 이곳을 점령한 무어인에 의해 황금기를 누렸다. 당시 건설된 300여개의 모스크, 수많은 궁전, 공공건물은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과 다마스쿠스(Damascus), 바그다드(Baghdad)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하다. 도시에 있는 방어용 구조물로, 특히 망루 구실을 하던 칼라오라 탑(Torre Fortaleza de la Calahorra)과 요새 알카사르(Alcazar de los Reyes Cristianos, 기독교 군주의 성채)가 유명하다.
스페인 쿠엥카 성곽 도시(1996)
<Historic Walled Town of Cuenca>
국가 : 스페인(Spain)
위치 : 카스티야라만차 자치지방
좌표 : N 39˚ 52' 0.8", W 4˚ 1' 45.9"
등재년도 : 1986년
등재기준 : ii, iii
쿠엥카(Cuenca)는 무어인이 코르도바 칼리프(Caliphate of Cordoba)의 심장부에 지은 방어 거점으로, 보존 상태가 뛰어난 중세의 요새 도시이다. 12세기에 카스티야(Castilla) 왕국에 의해 점령된 후, 스페인의 최초의 고딕 양식 성당으로 '허공에 매달린 집' 등의 중요한 건물들이 있는 주교좌 도시가 되었다. 지리적인 잇점을 십분 활용한 이 도시는 농촌의 풍광 위에 우뚝 솟아 있다.
스페인 톨레도 역사 도시 (1986)
<Historic City of Toledo>
국가 : 스페인(Spain)
위치 : 카스티야라만차 자치지방
좌표 : N 39˚ 52' 0.8", W 4˚ 1' 45.9"
등재년도 : 1986년
등재기준 : i, ii, iii, iv
톨레도(Toledo)는 로마의 자치도시, 서고트 왕국(Visigothic Kingdom)의 수도, 코르도바 에미레이트(Emirate of Cordoba)의 요새였으며, 무어인과 싸운 기독교 왕국의 전초기지였다. 또한 16세기의 카를 5세 치하에서는 한때 최고 권력의 근거지였으며 2,000년 이상의 역사를 간직한 도시였다. 이 도시의 걸작들은 3대 주요 종교인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가 공존하면서 이질적인 문명들이 서로 혼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프랑스 보방의 요새 시설(2008)
<Foritfication of Vauban>
국가 : 프랑스(France)
위치 : 보방 주변 지역
좌표 : N 50˚ 16' 57", E 2˚ 45' 32"
등재년도 : 2008년
등재기준 : i, ii, iv
보방의 요새시설은 프랑스 서쪽, 북쪽, 동쪽 국경선을 따라 12군의 요새화된 건물과 유적지이다. 보방의 요새시설은 루이 14세의 공학자 세바스티엥 르 프레스트르 드 보방의 가장 뛰어난 작품이다. 연속유산에는 보방이 세운 마을들, 성들, 도시 성벽, 성탑 들이 포함된다. 산악 요새, 항구, 산악 포대, 두개의 산악 통신 구조물들도 있다. 보방 요새시설은 전형적인 서양 군사 건축의 고전주의적 절정을 증명하는 유산이며, 보방 성채는 19세기 중반까지 성채 건축에 있어서 유럽을 비롯한 여러 대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수원 화성 서북각루(1997)
<Hwaseong Fortress Northwestern Pavilion>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수원시
좌표 : N 37˚ 16' 19.992", E 127˚ 0' 29.988"
등재년도 : 1997년
등재기준 : ii, iii
사진제공 : 화성 박물관
대한민국 수원 화성 서일치(1997)
<Hwaseong Fortress West Turret 1>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수원시
좌표 : N 37˚ 16' 19.992", E 127˚ 0' 29.988"
등재년도 : 1997년
등재기준 : ii, iii
사진제공 : 화성 박물관
에스토니아 탈린 역사 지구(1997)(2008년 수정)
<Historic Centre (Old Town) of Tallinn>
국가 : 에스토니아(Estonia)
위치 : 하르유 주
좌표 : N 59˚ 25' 59.988", E 24˚ 43' 60"
등재년도 : 1997년 (2008년 수정)
등재기준 : ii, iv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Tallinn)은 13세기에 튜턴 기사단(Teutonic Order, 독일 기사단)의 십자군 원정대가 성을 세우면서 형성되었다. 중세 도시 상업 동맹인 한자동맹(Hanseatic League)의 주요 중심지로 발전한 이 도시는 화려한 공공건물(특히 교회)과 상인들이 거주하던 건물을 통해 과거의 영화를 과시하고 있다. 이곳은 다음 세기의 화재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용케 파괴되지 않아 보존 상태가 매우 우수하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도나우 강 연안과 부다 성 지구, 언드라시 거리(1987)
<Budapest, including the Banks of the Danube, the Buda Castle Quarter and Andrassy Avenue>
국가 : 헝가리(Hungary)
위치 : 부다페스트
좌표 : N 36˚ 26' 49.992", E 28˚ 13' 40.008"
등재년도 : 1987년 (2002년 확장)
등재기준 : ii, iv
부다페스트(Budapest)에는 로마제국의 도시였던 아쿠인쿰(Auincum)과 고딕 양식의 부다 성(Buda Castle)의 같은 유적들이 있다. 이 유적들은 여러 시대에 걸쳐 헝가기 건축에 큰 영샹을 미쳤다. 부다페스트는 세계에서 수려한 도시경관으로 손꼽히며, 헝가리 수도의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시대를 보여 준다.
독일 로마제국 국경 유산 중 자알부르크 리메스 요새(1987)
<Frontiers of the Roman Empire>
국가 : 돌일(Germany)
위치 : 자알부르크
좌표 : N 54˚ 59' 33.4", W 2˚ 36' 3.6" N 50˚ 16' 18.8", E 8˚ 33' 59.6"
등재년도 : 1987년 (2005년, 2008년)
등재기준 : ii, iii, iv
로마 제국은 전성기에 3개 대륙으로 확장되었다. 로마 제국의 경계선은 천 년 이상 이어져 온 권력의 번성과 쇠퇴를 반영한다. 리메스 게르마니쿠스(게르만 경계)는 83년 부터 260년까지 로마 제국을 게르만족으로부터 방어하던 방어벽이다. 기원후 9년 토이부르크 숲 전투에서 패배한 후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국경을 따라 요새를 짓기 시작했다. 이때 지어진 리메스 게르마니쿠스는 게르만족을 차단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망대 주변에는 벽이 열려 있어서 상인이나 주민들이 출입하였다. 리메스의 역할은 이 통행을 단속하는 것이었다.
룩셈부르크 중세 요새 도시(1994)
<City of Luxembourg: Its Old Quarters & Fortifications>
국가: 룩셈부르크(Luxembourg)
위치 : 룩셈부르크
좌표 : N 49˚ 36' 36", E 6˚ 7' 59.988"
등재년도 : 1994년
등재기준 : iv
전략 요충지인 룩셈부르크는 16세기부터 도시 성벽이 해체된 1867년까지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 중의 하나였다. 로마 제국 황제, 부르고뉴 가문, 합스부르크 가문, 프랑스 및 에스파냐 왕들 그리고 나중에는 프러시아인에 이르기까지 유럽 열강들이 거쳐 가면서 계속해서 발달 하였다. 일부가 파괴되기는 했으나 이 요새는 수세기에 걸친 훌륭한 군사 건축물의 전형으로 남아 있다.
중국 마카오 역사 지구(기아요새)(2005)
<Historic Centre of Macao>
국가 : 중국(China)
위치 : 마카오 특별행정구
좌표 : N 22˚ 11' 28.651", E 113˚ 32' 11.26"
등재년도 : 2005년
등재기준 : ii, iii, iv, vi
마카오는 16세기 중반부터 포르투갈의 통치를 받았으며, 1999년 중국에 다시 반환되었다. 역사거리와 주거지역, 그리고 포르투갈과 중국식 종교건물, 공공 건물들이 있는 마카오 역사지구는 과거부터 활발한 무역활동으로 서양과의 교류를 처음 시작한 지역이며, 동. 서양의 문화, 건축, 기술 등의 교류를 나타내는 증거이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요새인 기아요새와 등대가 대표적 성곽유산이다.
중국 베이징과 선양의 명과 청 시대 황궁(자금성)(1987)(2004년확장)
<Imperial Palace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Beijing & Shenyang>
국가 : 중국(China)
위치 : 베이징. 선양
좌표 : N 41 47 39, E 123 26 49
등재년도 : 1987년(2004년 확장)
등재기준 : i, ii, iii, iv
자금성은 5세기 동안(1416-1911) 중국 최고 권력의 중심지에 있던 황궁으로, 이곳에는 가구와 예술품이 있는 약 10,000개의 방과 잘 조성된 정원이 있다. 이 황궁과 이곳의 유물은 명과 청 시대 중국 문명의 가장 귀중한 증거로 여겨진다. 선양()의 황궁은 청 왕조 시대에 건설된 114개의 궁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쑤거()'라는 도서관이 있는 선양의 황궁은 베이징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중국 왕조의 중요 기반이었다. 청 왕조 시대와 중국 북방계 부족, 만주족의 문화적 전통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 증거를 보존한 주목할 만한 건축물이다.
리장 옛 시가지(1997)
<Old Town of Lijiang>
국가 : 중국(China)
위치 : 리장 옛 마을()
좌표 : N 37 45 1, E 4 46 47
등재년도 : 1997
등재기준 : ii, iv, v
중국의 리장은 불리한 지형적 요건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의 완벽한 적응으로 인해중국의 주요 상업 및 전략적 요충지로 만들어진 성곽도시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오늘날까지 사용하고 있는 리장만의 급수체계이다. 리장 옛 시가지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진정성이 잘 나타나 있는 성곽도시이며, 이곳의 건축물은 수세기동안에 겹쳐진 문화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어 가치가 있다.
쿠바 아바나 옛 시가와 요새(1982)
<Old Habana and its Fortifications>
국가 : 쿠바(Cuba)
위치 : 아바나 시 지구
좌표 : N 23 7 60, W 82 20 60
등재년도 : 1982년
등재기준 : iv, v
1519년에 스페인이 건설한 아바나는 17세기에 선박 건조로 카리브 해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현재 대도시로 성장한 이 도시의 옛 중심부에는 바로크와 신고전주의적 기념물들이 흥미롭게 혼합되어 있다. 또한 아치가 연결되어 있는 회랑과 발코니, 철제 대문과 내부 정원이 있는 개인 주택들이 동일한 형식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캄보디아 앙코르(1992)
<Angkor>
국가 : 캄보디아(Cambodia)
위치 : 시엠리아프 주
좌표 : N 13 25 60, E 103 49 60
등재년도 : 1992년
등재기준 : i, ii, iii, iv
앙코르(Angkor) 유적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고고학 유적 가운데 하나이다. 산림 지역을 포함해 400 km2 이상 퍼져 있는 이곳은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크메르 제국의 수도로서 훌륭한 유물을 지니고 있다. 유적에는 유명한 앙코르와트(Angkor Wat)의 사원들과 바욘사원(Bayon Temple)이 있는 앙코르툼(Angkor Thom)이 있다. 유네스코는 이 상징적인 지역과 그 주변을 보호하기 위해 광범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베트남 후에 기념물 복합지구(1993)
<Complex of Hue' Monuments>
국가 : 베트남(Viet Nam)
위치 : 투아 티엔-후에
좌표 : N 16 28 9.984, E 107 34 40.008
등재년도 : 1993년
등재기준 : iii, iv
사진제공 : 후에 기념물 보존센터
후에는 1802년 통일 베트남의 수도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1945년까지 응우옌(, Nguyen) 왕조의 정치, 문화, 종교적 중심지였다. 이 중세 도시에는 흐엉강(, Huong River, Perfume River)이 있다. 흐엉 강은 수도(Kinh Thanh), 제국의 도시(Hoang Thanh), 투캄탄(, Forbidden Purple City, 자금성을 본떠 만든 궁전), 도심지(Dai Noi) 등을 가로질러 유유히 흐르면서 시가지 전체에 독특한 자연미를 만들어주고 있다.
체코 체스키 크롬로프 역사 지구(1992)
<Historic Centre of Cesky Krumlov>
국가 : 체코공화국(Czech Republic)
위치 : 남보헤미안 지역
좌표 : N 48 49 0, E 14 19 0
등재년도 : 1992년
등재기준 : iv
체스키 크롬로프는 13세기 고딕 양식, 르네상스 양식, 바로크 양식 요소가 어우러진 건축물이 있는 볼티바 유역의 중세도시이다. 5세기 이상 평화롭게 발전한 이 도시는 중부 유럽에서 온전한 건축 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뛰어난 사례이다.
러시아 -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사지구와 관련 기념물군 (페트로파블로프스키 요새)(1990)
<Historic Centre of Saint Petersburg and Related Groups of Monuments>
국가 : 러시아(Russian Federation)
위치 : 상트페테르부르크 현
좌표 : N 59 57 0, E 30 19 5.989
등재년도 : 1990년
등재기준 : i, ii, iii, iv
'북쪽의 베네치아'라고 불리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수많은 운하와 400여개를 넘는 다리가 있다. 표토르 대제 시절 1703년 시작된 대규모 도시 건설 계획을 통해 완성되었으며 구소련 시대에는 레니그라드라고도 불렸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건축 유산은 전혀 성격이 다른 바로크 양식과 순수 신고전주의 양식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데, 그 예로 해군성, 겨울궁전, 대리석궁전과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비교를 통해 찾을 수 있다.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역사 지구(1996)
<Historic Centre of the City of Salzburg>
국가 : 오스트리아(Austria)
위치 : 잘츠부르크
좌표 : N 47 48 2, E 13 2 36
등재년도 : 1996년
등재기준 : ii, iv, vi
잘츠부르크는 왕자와 대주교가 통치한 도시국가로, 중세 때부터 19세기까지 발달해 온 도시구조가 그 특징이다. 잘츠부르크는 고딕과 바로크 양식이 어우러져 있으며, 화려한 고딕 예술은 많은 장인들과 예술가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탈리아 건축가 빈첸초 스카모치와 산티노 솔라리의 작품을 통해 이 도시의 바로크 양식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잘츠부르크는 모차르트가 태어난 도시로 유명하다.
체코 프라하 역사지구(1992)
<Historic Centre of Prague>
국가 : 체코공화국(Czech Republic)
위치 : 프라하
좌표 : N 50 5 22.992, E 14 25 9.984
등재년도 : 1992년
등재기준 : ii, iv, vi
프라하 시가지의 건축물들은 중세시대에 건축학적, 문화적 중심지였던 프라하의 영향력을 잘 대변해 준다. 프라하에는 11-18세기에 건축된 다양한 양식의 건축물들이 남아 있다. 하라드차니 성, 성 비투스 성당, 카를 다리 등 세계유산에 등록된 많은 건축물은 대부분 14세기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4세 황제 시대에 축조된 위대한 기념물들이다.
그리스 로도스 중세도시(1988)
<Medieval City of Rhodes>
국가 : 그리스(Greece)
위치 : 도데카네스 주
좌표 : N 36 26 49.992, E 28 13 40.008
등재년도 : 1988년
등재기준 : ii, iv, v
로도스는 1309년-1523년에 예루살렘의 성 요한 기사단(The Order of St. John, 병원기사단이라고도 함)이 점령해 요새로 만들었으며, 이후 터키와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기사단장의 궁전(Palace of the Grand Masters), 대병원, 기사의 거리 등이 있는 어퍼타운(Upper Town)은 고딕 건축물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로어타운(Lower Town)에는 오스만 제국 시절의 모스크, 대중 목욕탕, 고딕 건축 등이 있다.
이스라엘 마사다 유적지(2001)
<Masada>
국가 : 이스라엘(Israel)
위치 : 이스라엘 남부지방
좌표 : N 31 18 48.6, E 35 21 9.9
등재년도 : 2001년
등재기준 : iii, iv, vi
마사다는 황야를 배경으로 사해를 굽어보는 바위투성이 구릉에 자리한 천혜의 요새이다. 장엄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이 유적은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상징이었다. 73년 로마군의 공격에 맞선 유대 저항군은 이곳에서 마지막 결전을 벌이다 최후를 맞았다. 유대의 헤롯 왕 때 초기 로마 제국의 고전주의 양식으로 건설한 왕궁 터가 남아 있다. 왕궁을 둘러싼 병영과 요새, 공격을 위해 쌓은 경사로는 로마 제국의 공성 보루 가운데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가장 완전한 유적이다.
이스라엘 성서 텔-메기도, 하솔, 베르셰바(메기도)(2005)
<Biblical Tels-Megiddo, Hazor, Beer Sheba>
국가 : 이스라엘(Israel)
위치 : 메기도, 하솔, 베르셰바
좌표 : N 32 35 49.990, E 35 10 55.992
등재년도 : 2005년
등재기준 : ii, iii, iv, vi
'텔(Tel, 선사시대 정착지 흙집)'은 동부 지중해 지역, 특히 레바논과 시리아, 이스라엘, 동부 터키에 분포한 편형한 지대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스라엘에 있는 200개 이상의 텔 가운데 메기도(Megiddo). 하솔(Hazor), 베르셰바(Beer Sheba)는 성서 관련 도시의 대규모 유적이 남아 있는 대표적인 텔이다.
이 세곳의 텔은 밀집한 도시 공동체에 꼭 필요한 지하 집수() 시설을 갖추었는데, 이는 레반트(Levant, 동부 지중해상의 섬과 연안 제국) 지역의 철기 시대 유적 가운데 가장 훌륭한 것으로 꼽힌다. 천 년에 걸쳐 보존된 집수 시설의 흔적은 중앙 집권국가의 형태를 나타내주는 증거이다.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옛 시가지(1979)
<Old City of Dubrovnik>
국가 : 크로아티아(Croatia)
위치 : 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 주
좌표 : N 42 39 2.016, E 18 5 29.004
등재년도 : 1979년(1994년 확장)
등재기준 : i, iii, iv
달마티안(Dalmatian) 해변에 있는 '아드리아 해의 진주(Pearl of the Adriatic)'는 13세기 이후 지중해의 요충지였다. 두브로브니크(Dubrovnik)는 1667년의 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고딕양식 건축물, 르네상스와 바로크 양식 교회, 수도원, 궁전과 분수가 보존되어 있다. 1990년대에 무력 분쟁 때문에 또다시 피해를 입었다. 지금은 유네스코의 중요 복원 프로그램으로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 남한산성행궁(2014)
<Namhansanseong Emergency Palace>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
좌표 : N 37 28 44, E 127 10 52
등재년도 : 2014년
등재기준 : ii, iv
임금이 서울의 궁궐을 떠나 도성 밖으로 행차하는 경우 임시로 거처하는 곳을 행궁이라 한다. 남한산성행궁은 전쟁이나 내란 등 유사시 후방의 지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한양 도성의 궁궐을 대신할 피난처로 사용하기 위하여 조선 인조4년(1626)에 건립되었다. 실제로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여 47일간 항전하였다. 이후에도 숙종, 영조, 정조, 철종, 고종 등이 여주, 이천 등의 능행길에 머물러 이용하였다.
연무관
<Yeonmugwan Pavilion, Pavilion for Command & Military training>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
좌표 : N 37 28 44, E 127 10 52
등재년도 : 2014년
등재기준 : ii, iv
군사들의 훈련을 위하여 건립한 곳으로 인조 2년(1624) 남한산성을 쌓을 때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무관은 규모가 크고 육중하며 높은 기단 위에 자리잡고 있어 멀리서도 그 자태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건물 내무 가운데에 있는 대들보에는 전, 후면에 용을 그렸고 측면쪽 대들보에는 봉황을 그려 넣은 것이 특이하다.
대한민국 남한산성(2014)
<Namhansanseong>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
좌표 : N 37 28 44, E 127 10 52
등재년도 : 2014년
등재기준 : ii, iv
대한민국 남한산성 남문(2014)
<Namhansanseong South Gate>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
좌표 : N 37 28 44, E 127 10 52
등재년도 : 2014년
등재기준 : ii, iv
대한민국 남한산성(2014)
<Namhansanseong>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
좌표 : N 37 28 44, E 127 10 52
등재년도 : 2014년
등재기준 : ii, iv
수어장대(2014)
<Sueojangdae Post, West Command Post>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
좌표 : N 37 28 44, E 127 10 52
등재년도 : 2014년
등재기준 : ii, iv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표소. 기념품샵. 남한산성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
---|---|
종각(鐘閣).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行宮) 안내. 광주시(廣州市) (0) | 2015.10.15 |
돌탑. 남한산성(南漢山城). 광주시(廣州市) (0) | 2015.09.17 |
남한산성 남문에서 파노라마 (0) | 201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