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민속가옥 3.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본문
민속가옥 3.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충남(忠南)
조선시대 민가로 말단관리인 서리의 집이다. 부엌 1칸, 방 2칸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서산지역의 3칸 초가집이다. 一자형의 평면구성은 우리나라 농촌민가의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 되는 공간배치로서 부엌과 방들이 일렬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모든 방이 남쪽으로 출입구를 두어 쾌적한 생활공간이 되도록 하고 있다. 방에 갖춘 간단한 문구류가 집주인의 직업을 말해준다.
장독대
장류가 담긴 독과 항아리 등을 놓아 두는 곳.
가장 큰 독은 김칫독이나 간장독으로 쓰고, 중간 크기 독에는 된장,
막장 등을 담아 두며 앞줄의 작은 항아리에는 고추장류 장아찌류를 담는다.
부엌
음식을 조리하고 준비하는 공간이다. 아궁이는 안방과 면한 벽 쪽에
설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동시에 방을 데우도록 하였다.
무쇠솥. 도마. 목반. 물두멍. 주걱. 밥고리. 물동이. 국자. 조리.
외벽
부피가 크거나 외부에서 보관이 가능한 생활도구는 건물의
외벽을 이용해 보관하기고 하였다.
광주리. 멍석. 장작
큰방
집주인이 기거하는 방으로 잠을 자고
식사를 하고 휴식을 취하는 다용도 공간이다.
지함. 벼루. 연상. 책궤. 붓통. 갓. 서안. 평상복. 갓집
작은방
큰방의 보조공간으로 침실, 접객, 수장 공간 등으로 이용된다.
함. 등잔. 횟대(옷걸이). 산가지와 산자통. 평상복
(산가지) 옛날에 수효를 셈하는 데 쓰던 물건
장독대
부엌
큰방
'나라안 나들이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속가옥 1.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
민속가옥 2.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청허정(淸虛亭).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장승동상.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내아(內衙).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