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민속가옥 2.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본문
민속가옥 2.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충남(忠南)
조선시대 민가로 상인의 집을 재현하였다. 대들보 아래의 방을 일렬로 배치한 홑집 즉 단일형 가옥으로, 우리나라 서부와 남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조선 후기 민가의 보편적 형태이다. 이 지역 민가들은 일반적으로 몸채를 -자형으로 하고 광, 외양간, 측간 등을 하나로 묶어 부속채를 구성한다. 이 가옥 역시 부엌 1칸, 방 2칸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3칸 초가이며 부속채가 딸려 있다. 장사가 주업이지만 텃밭 경작을 위한 기본적인 농기구를 갖추었다.
외벽
부피가 크거나 외부에서 보관이 가능한 생활도구는
건물의 외벽을 이용해 보관하기도 하였다.
멍석. 곡식종자. 광주리. 장작
부엌
조리와 난방을 위한 공간으로 주거의 중요기능을 담당하는 곳이다.
다식판과 떡살. 곡식 항아리. 소반. 밥고리. 등잔걸이. 목반, 호리병(술병). 용수. 풀무
큰방
침실이자 식당 겸 거실인 다목적 공간으로, 잘 때는 방바닥에
이부자리를 펴고 자고 낮에는 의자대신 방석에 앉아 지내는 좌식생활공간이다.
함. 등잔. 횟대(옷걸이). 바느질 용구. 다듬잇돌. 평상복
작은방
큰방의 보조공간으로 침실, 접객, 수장 공간 등으로 이용된다.
지함. 등잔. 횟대(옷걸이). 평상복
창고
각종 생활 도구 들을 보관하는 공간이다.
곡식섬. 맷돌. 부뚜. 키. 절구와 공이. 말. 소쿠리. 지게. 톱
장독대
장류가 담긴 독과 항아리 등을 놓아 두는 곳이다.
집안 살림의 규모가 클수록 장독대의 규모도 커서 한 줄에 4, 5개씩
놓기도 하는데 주부들의 살림 솜씨를 장독대를 보고 평가하기도 한다.
'나라안 나들이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양루(岑陽樓).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
민속가옥 1.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민속가옥 3.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청허정(淸虛亭).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
장승동상.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0) | 201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