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민속가옥 1.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충청남도

민속가옥 1.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세계속으로 2015. 11. 15. 11:53

민속가옥 1. 해미읍성(海美邑城). 서산시(瑞山市). 충남(忠南)

 

조선시대 민가로 부농의 집을 재현하였다. 전형적인 서산지역의 민가로서 대청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이런 ㄱ자형 가옥은 ㅡ자형 가옥의 기본평면에서 발전된 것으로, 부엌 1칸, 방 1칸의 기본적인 생활공간의 형태로 필요에 따라 칸이 덧붙여져 확대된 것이다. 이 가옥은 부유한 농가로 각종 농기구와 농산물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와 부속채가 딸려 있는데 부속건물을 마당 한쪽에 치우쳐 지어 농경 작업을 위한 마당의 공간 활용을 높였다.

 

부엌

서산지역의 전형적인 농가의 부엌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곳이다.

소반. 쇠솥. 밥고리. 시루. 석쇠. 똬리. 잿고무래. 수저통. 투가리

 

큰방

큰방은 집안의 가장 웃어른이 기거하는 공간으로 안방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침실 겸 거실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반닫이. 횟대(옷걸이). 등잔. 놋화로. 삼합상자. 인두. 요강.

 

마루 / 외벽

마루는 건물 내에 지면보다 높게 널빤지 등의 재료를 평평하게 깔아 사람이 앉거나 보행하도록 만든 곳이다. 외벽에는 자주 사용하는 집기류 등을 걸어 보관하였다.

써래. 광주리. 쟁기. 삿갓. 멍석. 구럭. 도롱이

 

작은방

큰방의 보조공간으로 침실, 접객, 수장, 작업공간으로 이용된다.

지암. 횟대(옷걸이). 명주북. 돌꼇. 평상복. 베틀. 등잔

 

창고

농가에서 농기구나 곡식 등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버들고리. 부뚜. 톱. 자두리. 절구. 말. 곡식섬. 맷돌. 키

 

장독대

장류가 담긴 독과 항아리 등을 놓아 두는곳.

한국 가정의 필수적 설비로서 대체로 햇볕이 잘 드는 동편에 마련하는데,

대지가 넓은 집은 뒷마당에 만들고, 좁은 집은 앞마당에 만든다.

 

뒷간

뒷간은 현대적 의미의 화장실로 농사를 위해 인분과 아궁이재를 섞어 만든 거름재를 두는 곳이다. 화학비료가 없던 시절 거름의 주재료는 똥이었으며 벼농사문화에서 똥은 아주 귀한 농자재였다.

인분으로도 모자라 농부들은 오쟁이을 들고 개똥도 주워 모았다.

똥지게. 똥바가지. 똥장군. 오쟁이

 

헛간

세간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물건을

넣어 두는 곳으로 무짝이 없는 광을 말한다.

가래. 지게. 낫. 작두. 갈퀴. 삽. 호미. 괭이. 자귀.

 

 

 

 

 

 

 

멧돌

 

 

 

 

 

장독대

장류가 담긴 독과 항아리 등을 놓아 두는곳.

한국 가정의 필수적 설비로서 대체로 햇볕이 잘 드는 동편에 마련하는데,

대지가 넓은 집은 뒷마당에 만들고, 좁은 집은 앞마당에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