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혼상(渾象).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본문
혼상(渾象).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경기도(京畿道)
혼상(渾象)
세종 19년(1437) 경복궁내에 만든 혼상(渾象)은 오늘날 천구의(天球儀)와 같이 하늘의 별자리를 적도와 황도좌표의 각도로 둥근 구면(球面)위에 표기하여 별자리의 위치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한 천문기기이다.
이 둥근 혼상을 회전시키는 축은 지구의 자전축인 북극(북극성 방향)과 남극 방향이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혼상에 그려진 별자리도 시간에 따라 지평환(地平環)의 동쪽에서 떠오른다. 또한 천체가 남중(자오선을 통과) 할 때는 자오환(子午環)을 지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서쪽으로 이동하여 지평환 밑으로 지는 모습이 재현되어 하루 밤 동안 별들의 운행을 살펴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세종 때의 혼상은 물의 흘러내리는 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하루에 한번씩 회전시킴으로써 하루 동안 하늘의 움직임과 같게 하여, 이 혼상을 이용하던 밤의 시간과 1년 동안의 절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었다.
아쉽게도 세종 때 만든 혼상은 현존하지 않지만 문헌 자료를 근거하여 야외에 전시할 목적으로 실제(지름 71.6cm) 보다 크게 (지름 120cm) 청동으로 제작하여 1,464개의 별을 새겨 복원한 것이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주일구(懸珠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
천평일구(天平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간의(簡儀).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세종전.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