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상 탈출...
현주일구(懸珠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본문
현주일구(懸珠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경기도(京畿道)
현주일구(懸珠日晷)
현주일구는 세종 19년(1437)에 창제된 일종의 해시계이다. 남북을 잇는 가는 줄을 지구의 자전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추를 달아 팽팽하게 당기도록 설치하여 이 줄의 그림자를 둥근 시반(時盤)에 나타나게 하여 그 가리키는 눈금을 보고 하루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현주일구의 시반은 양면에 눈금이 새겨져 있다. 시반에 나타나는 가는 줄의 그림자가 여름철에는 시반의 윗면에 나타나고 겨울철에는 시반의 밑면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윗면의 눈금은 춘분에서 추분까지 사용하고 밑면은 추분에서 춘분까지 사용한다.
현주일구는 세종당시에는 휴대용 해시계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크기가 손바닥만한 것이었지만 야외전시를 위해서 문헌에 기록된 치수의 7배로 확대 복원한 것이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간의(小簡儀).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
정남일구(定南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천평일구(天平日晷).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혼상(渾象).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간의(簡儀).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