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영릉(英陵. 세종대왕릉). 여주시(驪州市) 본문
영릉(英陵. 세종대왕릉). 여주시(驪州市). 경기도(京畿道)
영릉(세종. 소헌왕후)
세계문화유산
사적 제 195호
영릉(英陵)은 세종대왕(世宗大王)과 소헌왕후(昭憲王后)를 합장한 능이다.
세종대왕은 조선조 제 4대왕으로 1418년 왕위에 올라 1450년 승하(昇遐)하니 재위(在位) 32년에 춘추가 54세였다.
세종대왕은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聖君)으로 한글(훈민정음 :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록)을 창제하고 측우기(測雨器), 혼천의(渾天儀), 해시계 등 과학기구를 발명하고 제작하였다.
아악(雅樂)을 정립하고 북방의 야인(野人)을 정벌하고 4군(四郡)과 6진(六鎭)을 개설하여 우리나라의 국경선을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확정하였으며, 일본 대마도(쓰시마)를 정벌하여 국방을 튼튼히 하였다. 학문을 숭상하여 학자를 기르고 활자(活字)를 개량하여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부처의 공덕을 칭송한 노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윤리덕행을 찬양한 책),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한국의 지리책), 석보상절(釋譜詳節:석가의 일대기), 의방유취(醫方類聚: 의학백과사전) 등 수많은 책을 발간하였다.
또한, 농업을 장려하고 백성을 사랑하였으며, 어진 성덕(聖德)이 하늘같이 높았다.
영릉은 원래 서울 헌릉 서쪽에 있었던 것을 예종 1년(1469)에 여주로 옮겨왔다.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을 길이 숭모하고 그 위업을 오늘에 이어 받아 민족문화 창조의 기틀로 삼고자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세종전을 새로 짓고 경역(境域)을 정비하여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었다.
영릉
사적 제 195호
조선왕릉
세계유산
조선왕릉(영릉)은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은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능(40기)으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담은 독특한 건축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신성한 공간이며
지금까지도 이곳에서 제례가 이어져 오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입니다.
등재일 2009년 6월 30일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대왕상.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
재실(齋室)터. 영릉(英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 여강길. 영릉(英陵. 寧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여주 관광 안내도. 영릉(英陵. 寧陵).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
영릉(英. 寧陵) 안내. 여주시(驪州市) (0) | 201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