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탈출...
이끼원.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본문
이끼원.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경기도(京畿道)
아주 아주 오래된 비밀
이끼원
지구가 하나의 큰 화단이라면 그 화단에 제일 처음 등장한 식물은 무엇이었을까요 ?
풀과 나무 이전에 등장한 주인공은 바로 이끼였습니다. 41억년 전부터 세상에 살고 있었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생명력에 머리가 숙여집니다.
공룡이 어떻게 사라졌는지, 인간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도 이끼는 다 알고 있겠지요.
지구의 거의 모든 생명체들을 조용히 지켜본 음지의 목격자, 이끼.
이끼는 건조할 때 숨을 죽이고 있다가 습기가 차면 꽃 피어오르듯 살아납니다.
빛이 적은 곳에서 살기 때문에 길을 잃었을 때는 나침반처럼 길잡이가 되어주기도 하고요.
그늘을 좋아하는 이끼가 많은 곳이 북쪽이 되는 거지요. 지구상에 이런 이끼는 그 종류만 1만 5천여종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끼집안들을 한자리에 모아놓은 화담숲의 이끼원에서 이끼들이 들려주는 아주 오래된 비밀들을 들어보세요.
수목원에서 볼 수 있는 이끼
아기들솔이끼 : Pogonatum inflexum
약간 그늘진 산지나 나무 밑 또는 길 주변의 낮은 땅이나 제방 등에 흔히 군생한다.
약간 회색을 띤 녹색이며 잎이 마르면 갈고리 모양으로 말린다.
산들솔이끼 : Pogonatum urnigerum
반그늘진 아고산대 이하의 건조한 땅위나 암반에 군생한다.
식물체는 짙은녹색이거나 약간 갈색에 가까운 흑색이고, 줄기는 높이가 3~15cm 이며 상반부가 갈라진 것도 있다.
큰솔이끼 : Polytrichum formosum
반그늘진 산지의 흙이나 흙이 약간 덮인 암반에 군생한다.
식물체는 황갈색이거나 암록색이다.
높이는 3~13cm로서 분지하지 않으며 줄기 하단에만 헛뿌리가 있고 피층은 2~4층의 세포로 되어 있다.
나무이끼 : Climacium japonicum
산속의 나무 그늘 등의 습기가 많은 부식 흙 또는 부식토에서 군생한다.
식물체는 크고 짙은 녹색이며, 기는 줄기의 끝은 곧게서는 줄기로 변하는데 그 높이는 5~10cm 에 달하며 상부는 가늘고 많은 가지로 분지하여 작은 나무모양이 된다.
구슬이끼 : Bartramia pomiformis
산지의 그늘진 바위위나 바위틈 또는 흙위에 덩어리를 이루며 생육한다.
포자낭이 구슬처럼 둥글고 윤기가 있어 지어진 이름이다. 줄기는 곧거난 비스듬하며, 높이는 1~3cm 이다.
잎은 4~9mm 이며 버들잎 모양으로 윗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숲속에서 주로 자란다.
털깃털이끼 : Hypnum plumaeforme
햇빛이 잘드는 흙이나 바위위 또는 나무 뿌리 부분의 물기가 많은 곳에서 밀생하여 포복성으로 매트 모양으로 만든다.
식물체는 크며 황록색 또는 녹갈색이고 윤기가 없다.
줄기는 약 10cm 가 되고 우상분지를 하는데 가지는 수평 또는 경사지며 하부는 갈색이다.
솔이끼 : Polytrichum commune
산림주변이나 반그늘진 임상의 물기있는 암반 또는 땅에 군생한다.
줄기의 높이는 2~7cm, 잎의 길이는 7~10mm 이다.
서리이끼 : Racomitrium canescens
햇빛이 잘드는 건조한 모래질 흙이나 바위 위에서 황녹색의 군락을 만든다.
잎 끝에 흰 투명점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보면 서리를 연상케 한다.
줄기는 직립해 높이는 2~3cm 정도로 불규칙하게 가지를 내며, 헛뿌리는 그다지 붙이지 않는다.
비꼬리이끼 : Dicranum scoparium
산림주변이나 반그늘진 부실직이 많은 흙이나 나무 또는 물기 있는 암반에 군생한다.
줄기의 높이는 2~7cm, 잎의 길이는 7~10mm 이다.
우산이끼 : Marchantia polymorpha
집 근처나 뜰의 습기가 많은 흙 또는 도랑 주변에 생육하며 식물체는 진녹색으로 넓게 펴지거나 좁은 타원형의 줄기없는 엽상체를 이룬다.
우산이끼는 암그루와 수그루가 우산같이 펼쳐지는데서 생긴 이름이다.
'나라안 나들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지암 화담숲(2). 광주시(廣州市) (0) | 2016.10.20 |
---|---|
구절초(九節草).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0) | 2016.10.20 |
규화목.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0) | 2016.10.20 |
솟대.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0) | 2016.10.20 |
한옥주막(1). 곤지암 화담숲. 광주시(廣州市) (0) | 2016.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