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일상 탈출...

수원화성안내. 수원시(水原市) 본문

나라안 나들이/경기도

수원화성안내. 수원시(水原市)

세계속으로 2017. 12. 28. 15:59

수원화성안내. 수원시(水原市). 경기도(京畿道)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

수원화성은 조선왕조 제 22대 정조대왕이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 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 화산으로 천봉하고 화산 부근에 읍치를 수원 팔달산 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기면서 축석되었다.


4대문 팔달문, 장안문, 화서문, 창룡문

수원화성을 출입하는 4개의 관문이며 이중 팔달문과 장안문이 각각 남북의 정문으로서 석축으로된 무지개문 2층에 문루가 세워져 있고 벽돌로 쌓은 반원형 옹성이 문을 둘러 싸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장대 서장대, 동장대

장대는 모두 2개소가 있는데 서장대는 팔달산 정상에서 성 주변을 살피면서 군사를 지휘하던 곳이다. 사방 100리가 한눈에 보이는 이곳은 화성의 군사지휘본부로, 일명 화성장대라고도 한다.


각루 동북각루(방화수류정), 서북각루, 동남각루, 서남각루(화양루)

높은 위치에 건물을 세워 주변을 감시하기도 하고 때로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곳을 말하며, 수원화성에는 총4개소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중 동북각루는 방화수류정이라 한다.


수문 북수문(화홍문), 남수문

수원화성을 가로질러 흐르는 수원천의 북쪽에 세운 수문을 말하며, 편액은 화홍문이라 하였다.

다양한 기능과 견고함에 멋진 외관까지 함께 갖춘 북수문은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당대의 대표적 시설물이었다. 2012년 6월 9일 남수문도 복원되었다.


공심돈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

군사가 안으로 들어가서 적을 살필 수 있게 만든 망루의 일종으로 동북공심돈은 수원화성에서 가장 특이한 건물 가운데 하나로 중국 요동지방에 있는 평돈(千燉)을 모방하여 벽돌로 동그랗게 돈대를 쌓아 만들었다.


봉돈

비상사태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통신시설로 봉돈은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벽돌을 쌓고 그 위에 5개의 화두를 쌓았으며, 성벽에 총구멍을 뚫어 적으로부터 방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원화성 공연 및 체험안내

장용영수위의식

일시 3월 ~ 11월 매주 일요일 오후 2시

장소 화성행궁 신풍루

문의 (재)수원문화재단 031-290-2634


토요상설공연

일시 3월 ~ 11월 매주 토요일 오후2시

장소 화성행궁 신풍루

문의 (재)수원문화재단 031-290-2634


화성행궁 주말체험

일시 3월 ~ 11월 매주 일요일 및 공휴일 오전 10시 ~ 오후 5시

장소 화성행궁 중앙문 앞

문의 (재)수원문화재단 031-290-3624


국궁체험

일시 연중(눈,비 오는 날 운영하지 않음)

장소 연무대 국궁체험장

문의 031-228-4686 (연무대매표소)



화성열차

운행시간 매일 오전 10시 ~ 오후 5시 (눈, 비 오는날 제외)

운행코스 팔달산 ~ 화서문 ~ 장안공원 ~ 장안문 ~ 화홍문 ~ 연무대

문의 031-228-4683 (팔달산 매표소), 031-228-4686 (연무대 매표소)


타종체험(효원의 종)

일시 연중진행

장소 팔달산 정상

문의 031-228-4669 (서장대매표소)


무예24기

문의 031-290-3633 (재)수원문화재단